2017. 6. 6. 20:39
300x250

아침형 인간

예전에 굉장히 유행했던 내용이 있는데, 당시에도 왈가왈부 했지만 나중에는 아침형 인간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회사가 거리가 있고 해서 어쩔 수 없이 아침형 인간이 될 수 밖에 없긴하다만, 단순히 회사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회사에서 피곤한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던 나에게 정말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설명한 책이다. 책 제목부터 '일 잘하는 사람의 두뇌 리듬' 이라고 적혀 있지 않은가?

 

 

 

사실 내 몸의 컨디션은 자신이 제일 잘 안다고 자부할 수 있지만 정말 모르겠는 것이, 비가 오면 왠지 피곤하고 온도가 변하면 뭔가 이상하고 아무튼 이래저래 뭔가 이상한 경우가 많다. 단순히 그냥 느낌이 그래서 그런 것인 줄 알았더니 이 책에서 보자면 실제로는 그게 아니었더라. 사람은 하루에도 여러번 변동이 있다고 하는데, 단순히 점심 때 밥을 먹어서 식곤증이 몰려오는 것이 아니라 잠에서 깨어나서 7시간이 지난 시점에 극도로 피곤이 몰려오는 시점이 온다고 한다. 흔히들 그 시점이 밥을 먹고 난 시점과 일치를 해서 식곤증이라는 표현을 하는데, 정말 미친 듯이 피곤하다가도 그 시점을 지나면 정말 아무일 없다는 듯 피곤이 사라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그 시기를 극복하기 위해 커피를 마신다던가 하는 방식을 활용하곤 하지만, 1분이라도 눈일 감고 있는 것이 사실은 제일 좋은 방법이라는 거 다들 알고 있었나?

 

아침에 일어나는 방식에 대해서도 정말 과학적인 근거를 가지고 설명하였다.

어두운 상태에서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가 되는데, 이 호르몬의 분비가 멈춰야만 제대로 된 아침을 맞이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집 안의 조명으로는 이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을 정지시키는 데 무리가 있어 실제 해가 들어오는 곳에서 맞이하는 것이 좋다고 하는데, 억지로라도 일어나서 햇볕을 쐬는 곳에 있는다고 하면 일어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고 한다. 단순히 '그냥 좋다' 라는 것이 아니라 실제 호르몬의 변화를 가지고 설명을 하니 정말 믿지 않을 수 없지 않은가?

 

물론 이 책에서 처럼 모든 시간을 기계적으로 자신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알아둔다면 적어도 내가 상사에게 보고를 해야할 시점에 상사의 상태가 대충 어떤 상태일지, 아니면 내가 만나는 고객의 상태가 어떤 상태일지를 파악할 수 있고 그것에 맞춰 대응을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이 된다. 생체 리듬의 경우 사실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당장 내 자신도 이 책을 읽으면서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이 있었기 때문이다. 1초도 허투루 낭비하지 않는 삶을 모토로 준비하고 있다면 어떠신가? 이 책에서 자신의 리듬을 찾아서 더 좋게 바꿔 보는것이?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1. 10. 8. 20:55
300x250


세상을 즐겁게 살고 계시는지요?
인터넷이 없다면 하루도 살기 힘든 세상, 시간 단위도 아닌 초단위로 움직이는 정말 급박한 세상 속에서 하루에 한 번이라도 자신만을 위한 휴식을 가지고 계신지요?

전 세계적으로 자살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닐텐데요. 어찌보면 무척 서글픈 일입니다. 태어나서 아직 꿈을 다 펼치지도 못할 나이에 포기를 한다면 그것만큼 허무한 일이 어디있을까요?
최근 여러 연예인들의 자살과 더불어 위기가 올 때마다 일어나는 증권사 은행사의 고위직 자살을 바라보면서 그 사람들은 대체 무엇을 바라보고 왔길래 그런 낭떠러지까지 갔나 싶습니다. 부정한 일도 있었겠지만 그렇게 되기까지 얼마가 고통스런 시간을 보냈을까요?

결국 문제는 '욕심' 입니다. 남보다 더 뛰어나고 빠르고 정확한 것만을 바라다 보면 쉬는 시간 조차 아까워 질 때가 옵니다. 그것은 곧 '화'를 부르게 되지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일정 수준의 스트레스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저는 아닌듯?ㅋㅋㅋ) 그 일정 수준을 넘어간 상태로 계속 유지하게 된다면 몸이 먼저 망가지게 되지요. 그래서 우울증과 암같은 여러 질병들이 동시에 찾아오게 되는 것입니다.


위의 만화는 네이버 수요웹툰의 '이말년 시리즈' 입니다. 한 번 보고는 무슨말인지 모를 수도 있지만 자꾸 보다보면 이해가 가기 시작하는데, 사회 문제점을 꽤나 정확히 찝어준 내용입니다. 해당 편은 최근의 '잠 은행' 이라는 스토리이구요. 잠을 자지 않고 계속 일만하고 그 잠은 나중으로 미루게 되지만 그것이 더 큰 이자로 돌아온다는 이야기 입니다. 결국 사람은 누구나 어느정도는 즐기고 일하고 자고 그런 생활을 해야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이지요. 저 역시 그렇게 하려고 노력 중입니다만, 회사 일은 좀.... 산떠미 같이 있어서 그건 마음대로 되진 않습니다^^;;;


일본인 저자가 쓴 자기 개발 내용은 어찌보면 지나치게 동양적인 생각이 있습니다. 어찌보면 '불교' 나 '도교' 적인 사상에 많이 기대고 있는데요. 실제로 이행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지만 그것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내 스스로를 돌아볼 시간을 갖고자 하지만 당장 내 눈 앞에 거대한 일들은 저를 그대로 가만두지 않으니까요. 그래도 책을 읽을 때는 몇 분씩 명상 같은 것을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나 스스로를 사랑하는 것' , 저자는 그것을 최우선적으로 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일단 자신을 사랑해야 남을 사랑할 줄 알고 그래야만 세상도 사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요즘같이 경제가 어렵고 민심이 흉흉해진 시기에 꼭 한 번 읽어보고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