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7. 3. 22:28
300x250

 

'착한~~' 시리즈가 굉장히 많다. 착한 커피, 착한 과자 등등... 공정거래에 의해서 하는 것이나 팔면 팔 수록 오히려 가진 것이 없는 자들을 후원해 주는 방식 등과 같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여러 기업들의 모습이 많이 보여지고 있다. 어쩌면 지금 이 시대는 기업 혼자서만 독불장군처럼 치고 나가는게 중요한 시대가 아니라 이처럼 사회를 변화시키며 수익을 내는 비즈니스 모델을 연구해야 하는 시기가 아닌가 생각이 된다.

 

충남 서천군에는 전체적인 인구가 줄고 노인밖에 남지 않는 문제가 발생을 하자 여러 버스 노선이 폐지되거나 간격을 늘리기에 이르렀다. 사실 버스 노선 자체가 운영을 하는데 있어서 매우 비싸기도 하지만 노인들의 경우 버스 정류장까지 나오는 것 조차도 어려워 하는 경우가 늘어났다고 한다. 그런데 이를 가장 슬기롭게 해결한 방법이 있었으니, 줄어드는 버스 노선을 늘리는 방식이 아닌 택시를 활용했던 것이다. 왠만한 거리는 모두 100원으로 통일, 택시이기 때문에 찾아가는 서비스도 가능, 해당 택시기사에게는 군의 세금으로 지원하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그냥 세금 낭비 아니냐고? 사실 그것도 아닌게 버스 노선 하나에 투자하는 금액보다 택시에 지불하는 금액이 훨씬 적다는 결과가 나왔다. 시 예산도 줄이고 편의도 얻을 수 있어 가장 잘된 케이스가 아닌가 생각을 해 본다.

 

대기업 중에는 상대적으로(홍보효과라고 해야 할까?) 사회적 기업으로 나와 있는 곳은 SK가 대표적일 것이다. 비록 총수는 감옥에도 다녀왔지만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서울 카이스트 경영대학에 사회적 기업가 MBA과정을 신설하여 아예 사회적 기업에게 교육부터 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사회적 기업 자체를 만들어 내서 운영하는 것은 사실 대기업은 SK로서는 쉬운 일이다. 손해를 감수하고 그냥 운영만 해도 이미지가 좋아지니 그렇게 하다가 슬그머니 없애면 그만인데, 사실 그간 많은 대기업들이 그런 방식으로 진행을 했기 때문에 지탄을 받아오기도 했다. 그런면에서 SK의 경우 그런 기업을 키울 수 있도록 젊은 사람들에게 기회를 열어준 것이다. 학기마다 무려 천만원 이상의 금액을 쏟아 부어야 하는 MBA 과정을 무상으로, 거기다가 약간의 트리거를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을 늘릴 수 있도록 제도화 한 것은 다른 기업들도 본받아야 하는 부분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

 

해외 시장에서 탐스의 경우 착한 신발의 대명사로 꼽힌다. 신발을 하나 사면 다른 하나를 아프티카 사람들에게 기부하는 방식으로 커왔는데, 사실 굉장히 독특한 디자인도 한 몫을 했지만 무엇보다 기업을 이루는 그 진정성이 소비자로 하여금 그 신발을 사게 만드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본다. 주변에도 탐스의 신발을 신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고 그 신발을 신는 사람으로 하여금 '사회적 약자를 도울 주 아는 사람' 이라는 스펙트럼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아이템이라고 할 수 있다. 마케팅 기법적으로 보았을 때 굉장히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볼 수 있다.

 

각 개별 국가의 성장만으로는 이제는 모든 경제를 이끌어 갈 수 없다. 마지막 미지의 세계인 아프리카 땅 마저 점점 발전하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이며 그간은 단순히 게을러서 혹은 침략당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었다면 이제는 그곳도 다른 나라와 같이 혜택을 보아야만(즉 같이 발전해야만) 전 세계적인 발전이 될 수 있다. 과연 한국은 그런 사회적 기업 방식의 사업을 얼마만큼 하고 있는가? 단순히 사회적 기업이라고 해서 수익을 내지 못한다면 그것은 기업으로서의 자질이 없는 것이고 결국 실패하게 될 것이다. 우리는 이런 기업들이 수익을 창출하면서 사회적 책임까지 다할 수 있는 방법을 좀 더 연구하고 고민해 봐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창업을 하려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책이 아닌가 싶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3. 1. 1. 23:02
300x250

 

착한기업 신드롬

최근 기업 이미지 향상을 위해서 여러 기업들이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언론에도 되도록이면 좋은 내용을 공개하도록 하고 여러 장애인 시설이나 불우이웃 돕기와 같은 일을 행하고 있는데 사실 그것이 자의반 타의반이라고 해도 솔직히 이익을 위해서라면 뭐든지 한다는 기업의 입장을 고려해 보았을 때 매우 다행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사회 환원이 억지로라도 이루어 지고 있다는 점이지요. 사실 그렇기 때문에 매번 정치에서도 기업의 사회 환원에 대해 논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고 착한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심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사회가 조금은 정상적으로 굴러가고 있구나라는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하지만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다면 '착한 기업' 은 소위 '미친 기업' 이라고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익을 최대화 하여 주주의 이득을 가져다 주는게 제 1의 목표인 기업이 정말 사회 환원을 위해 많은 것을 포기한다고 한다면 그것을 받아들일 주주는 과연 몇이나 될까요? 사실 경제라는 것은 사람의 이기심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합니다. 옛 이야기로 우리가 값싸고 맛있는 고기를 먹을 수 있는 것은 정육점 주인들의 이기심 때문이라는 것과 같은 이야기를 말이지요(도축업자였던가요?^^;) 많은 내용이 공개되어 있는 공개시장에서는 가장 합리적인 가격이 존재하게 되고 그 때문에 경쟁을 하게되면서 가격은 점차 소비자의 편으로 가게 되어 있습니다. 마진을 줄이더라도 더 큰 매출이 나오게 된다면 그것을 선택하는 것이 인지 상정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그 이익을 줄여 사회에 환원하라고 한다면 과연 몇 이나 그것을 지킬 수 있을까요? 지금 진행중으로 표현되는 착한 기업이라는 의미는 조금은 신기한 현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물론 그렇다고 사회적 환원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닙니다. 여기서 예를 들었던 유한양행과 같이 대주주 스스로 경영권과 소유권을 분리하여 주주로서의 역활이 아닌 한 사회인으로서 사회에 많은 것을 돌려준다라는 의미에서의 경영을 보았을 대 경영의 깔끔함과 더불어 비리 없고 늘 좋은 이미지로만 부각이 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나의 기업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서 수천억을 때려 붓는 것 보다야 이렇게 함으로서 국가로부터도 사회로부터도 등돌림 당함 없이 기업이 자생할 수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정말 이상적인 예이지만요. 사실 유한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런 사회적 사업이 아닌 스스로가 할 수 있는 분야에서 최대의 성과를 가져왔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 생각을 하게 됩니다.

 

한국의 기업들은 사실 이전에 너무 많은 것들로 얼룩져 있습니다. 지금이야 대기업이 소위 '국위 선양' 을 한다고 하여 국가에서 많은 지원을 공개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정재계 내부에서 벌어진 많은 비리들을 사람들은 너무나 많이 알고 있습니다. 다만 그것이 당장 직접적으로 나에게 피해가 없기에 그냥 흘러가는 일로 치부하기 때문이지요. 그들의 잘못이 없다는 것은 아니나 그들도 앞으로는 그런일이 없도록 '착한기업' 이 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할 지 조금은 고민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내용이 다소 경제학적인 내용과는 벗어난 내용이나 우리가 앞으로의 사회적 기업, 착한 기업에 대해서 좀 더 좋은 시각, 우대를 해주는 일이 된다면 그들도 변하지 않고는 도태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서로 경쟁을 통해 상대방을 무너뜨리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내가 가지고 있는 이권에 대해서 남에게도 베풀 수 있는 그런 아량이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동반성장이 되지 않으면 도요타와 애플과 마찬가지로 결국 그 믿는 도끼에 발등이 찍혀 제품이 문제로 나타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지금 당장 승승장구를 하고 있는 삼성 현대도 언젠가는 그 위기를 맞이하게 될텐데, 지금부터라도 이 책에 나온 착한 기업의 모습을 갖춰 보았으면 합니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1. 8. 20. 20:58
300x250


조금 부담스러운 얼굴?ㅋ 책의 저자 분을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증권 시황 설명을 할 때 가끔 들어본 이름입니다. 제가 들어볼 정도면 꽤나(?) 유명하신 분이 맞을 겁니다. TV는 자주 보는 편이 아니라서요^^; 그리고 꽤 나 오래 전에 들었던 것으로 기억을 합니다만, 그만큼 시세와 시황 쪽에 일가견이 있어서 오래 가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한 번에 실수를 시청자들은 절대 용납하지 않으니까요.

투자 방법에 대한 책은 다른 여러 가지도 있겠지만 한국에서는 대표적으로 주식과 부동산 책으로 양분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보는 것이기도 하구요. 가장 큰 이유는 그동안의 성과가 결코 나쁘지 않았다는 것으로 귀결됩니다. 그만큼 두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이 많았다는 이야기 겠지요. 하지만 각각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쓰는 저서에는 꼭 비교가 되고, 서로가 자랑하는 부분의 통계만을 사용하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두 책을 동시에 읽다보면 도대체 어떤 통계가 맞는 것인지 알 수가 없을 때가 많습니다.

이 책의 좀 다른 점은, 자세한 통계자료가 많다는 것이겠습니다. 결론적으로는 앞으로 부동산보다는 주식이 더 낫다는 이야기이지만, 세분화된 자료들을 보면서 '아 그렇구나' 라는 생각도 하게 됩니다. 다만 부동산의 경우 원하든 원하지 않든 자연적으로 장기투자가 될 수 밖에 없는 여건이나 주식의 경우 언제든지 넣고 빼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투자의 고수들이 3년 5년을 보라고 해도 당장 오르거나 내리는 것에 일희일비 하지 않을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지요.

어떤 기업이 이기는 기업일까요? 최근 어떤 투자전문가든 간에 추천하는 나라는 인도와 중국입니다. 소위 친디아라고 불리는 이 두 나라는 금융위기 직전에 100% 이상의 수익을 갖게 해준 나라들입니다. 여전히 앞으로의 전망도 어마어마하게 좋은 편이구요. 수출을 안해도 될만큼 충분한 인구가 존재하며, 성장속도도 어마어마하게 빠릅니다. 이들 나라에서 가장 원하는 것을 수출하는 기업이 이기는 기업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실제로 터키나 인도에서 발전소 부족으로 인해 전력 공급을 태양광으로 진행하기를 원해서 태양광 산업이 어마어마하게 성장한 이력이 있지요)

그리고 자본주의가 점차 안정화 됨에 따라 무조건 적인 생산이 아닌 사회적 기업에 많은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하나를 만들더라도 사회적으로 도움이 되는 기업들이 장차 더 큰 기업이 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질 것입니다. 한국에도 대표적으로 '유한킴벌리' 가 있지요. 특별히 광고는 많이 안해도 '참 선한 기업이구나' 라는 판단을 내리게 되는 이미지가 어마어마한 가치로 다가올 것이라 생각됩니다.

저자의 코스피 3000 주장은 최근에는 잠깐 주춤해 졌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 책을 받은 뒤 얼마뒤에 200포인트가 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을 했기 때문이지요. 미국 시장의 불황, 유럽 위기 등등, 다시 위기가 도래하는 것이 아닐까도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저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요 얼마 전까지 정말 지나칠 정도로 빠르게 오른 감이 없지 않고, 이번 기회에 아픈 곳을 해결하고 가지 않으면 더 큰 상처를 남기게 되게 말테니까요. 주식이라는 것이 어떻게 본다면 허가된 도박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그만큼 그 기업에 애정을 가지고 연구한다면 그만큼의 결실은 가져다 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저자의 생각에 동감하시는지요?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