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2.04.04 투자하려면 경제신문
  2. 2019.09.22 어려웠던 경제기사가 술술 읽힙니다.
2022. 4. 4. 14:01
300x250

 

신문 보고 있습니까?

얼마 전에 매일경제 신문을 온라인 구독하기 시작했다. 과거 3~4년 전에는 종이 신문을 구독했었는데 매우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아서 자주 보긴 했지만 동네가 신축 아파트이다 보니 신문이 내가 출근하는 시간보다 항상 늦게 도착을 해서 조간신문을 맨날 석간에 보는 문제가 있어서 결국 잠시 종료를 했던 기억이 있다. 원래 신문이라는 것은 '신선한 내용' 이 주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그 후에는 출퇴근을 하면서 인터넷으로 기사들을 보았는데, 이렇게 보다 보니 문제점이 많이 발생을 했다.

 

맨날 보는 것만 보고 뭐가 중요한 지 모르겠다.

이 책에서도 언급한 내용이다. 종이 신문의 경우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보면 오늘의 'Hot Issue' 가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 수 있다. 그것이 정치든 사회든 국제든 경제든 말이다. 그런데 인터넷 뉴스만 보다 보면 일단 첫 번째로 내가 관심 있어하는 제목만 눌러보게 되고, 자꾸 어떤 아가씨(?) 들의 사진들에 대한 자극적인 제목만 누르게 된다(이거 혹시 나만 이런 건가...? 버스나 지하철 보면 아저씨들은 다 이렇던데 말이다) 거기다가 카톡이라도 오면 내용이 궁금해서, 답변을 해야 해서 흐름이 끊겨 버리니 긴 기사는 아예 읽지도 않는 경우가 태반이 되어 버린다. 어쩌면 무료로 보는 기사의 큰 문제점이라고 할까?

 

그래서 온라인으로 구독을 하게 되었다.

어찌됐건 돈을 주고 했으니 죽이 되든 밥이 되든 읽어야 하는 것이 맞으며, 거기다가 진짜 신문과 같은 형태로 기획이 되어 그 기사를 누르면 인터넷 기사처럼 나오는 형태로 되게 된다(사실 나는 그런 것이 싫어서 신문 형태로 쭉 읽는다) 그리고 시간에 대한 압박(출근 전에 신문이 와야 하는)이 없기 때문에 눈 뜨자마자 바로 태블릿을 켜서 실행을 하면 되고 거기다가 기사 내에서 궁금한 점은 바로 검색도 가능하니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보통 경제기사의 단어를 모르거나 할 때 답답해서 이해를 못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는데, 그런 면에서 이렇게 신문화된 온라인 신문은 정말 안성맞춤인 듯하다.

 

비록 내가 지금 주식과 코인에서 돈을 잃고 있지만......

잃고 있는 부분에 대해서 정신승리를 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적어도 왜 잃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조금 이해가 필요한 듯하다. 따는 것이 목적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경제가 돌아가는 사정에 대해서 잘 이해를 하게 되면 당장의 한두 푼 따는 것보다 더 많은 이득을 볼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미국의 테이퍼링이 과연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사실 지구 반대쪽 국가가 우리에게 무슨 영향을 끼칠까는 이미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때 충분히 검증된 내용이라고 생각이 된다) 그리고 금리의 상승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지 사전에 준비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신문의 범위를 점차 넓혀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저자의 이력이 좀 색다르다고 생각했다. 신문을 보는 것조차도 컨설턴트가 있다고 하니 정말 신기할 따름이었는데 신문에서 나온 내용을 세심히 읽다 보면 정말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그런 것을 짚어주는 컨설턴트는 분명히 있는 게 맞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으며 여러 면을 보면 항상 보고 싶은 면만 보게 되는 것이 있는데 저자의 경우 초반에는 자신이 원하는 목적성에 부합되게 보는 것이 목적이었다면 나중에는 문화/예술 분야까지도 꼼꼼하게 보는 것이 목적이기도 하다. 매일 경제를 구독하게 되면서 부록으로 딸려온 럭스맨 잡지를 보다 보면 아마도 대상이 CEO나 부유층들을 위한 부분일 텐데 자동차, 스포츠, 문화, 예술 등의 비중이 거의 절반이 되는 것을 보면서 단순히 꼭 경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알 수 있는 것도 나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이 되었다. 우선, 읽는 것부터 알고 싶다면 이 책에서 그 정보를 찾으면 되겠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9. 9. 22. 20:08
300x250

 

개인적으로 회사를 일찍 가는 편이라 밤에 접하곤 하는데 난 경제 신문을 구독하고 있다. 사실 인터넷으로 보면 되는데 왜 굳이 그것을 돈을 주고 보냐고 물어보면 개인적으로는 종이를 넘기는 그 느낌이 좋다라고 할까?(이렇게 보면 딱히 학구적인 느낌은 보이지 않는데 왠지 모르게 그런 이유가 맞는 것 같다) 그리고 두번째로는 인터넷으로 신문 기사를 읽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절대 경제신문 제목이 특별히 클릭하고 싶은 내용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인터넷에서는 자극적인(?) 주제를 누르게 된다고나 할까? 그래서 경제 신문을 직접 구독해서 읽고 있다. 다른 사람이 보기에 살짝 고루해 보일 수는 있어도 이런 내가 참 좋다고 생각된다.

 

그러면 그 경제기사를 읽지 않는 근원적인 이유가 뭘까? 바로 '어떻게 읽어야 할지 모르겠다' 라는 것이 그 답이 아닐까? 애초에 써 있는 단어가 무슨 말인지 모르니 읽기도 싫다는 의미이다. 마치 내가 의학지를 읽는 것과 같은 의미라고 할까? 하지만 의학지와 다른 것은 의학지는 진짜 의사들에게 도움이 되고 우리에게는 있어도 없어도 그만이라고 본다면 경제의 경우 없다면 큰 일이 될 수 있다. 평생 돈을 모으려고 살아가는데(그것이 목적이 아니더라도 어쩔 수 없이 모으는 것이 맞겠지?) 어떤 위협이 있고 앞으로 어디다가 투자를 할 것이며 어떻게 지켜나가야 하는지 계획을 세우는데 가장 큰 도움을을 주는 것이 바로 이 신문이라는 것이다. 단연컨데 신문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면 경제도 모르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된다.

 

이 책에 나온 내용들은 사실 경제 부분에 있어서는 굉장히 기초적인 키워드로 시작을 한다. 주식/부동산/채권/금리 등과 같이 항상 신문의 제 1면을 장식하는 내용들을 풀어서 설명해 주는데, 신문을 거의 읽지 않는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내용이다. 적어도 다른 사람들에게 경제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이정도는 알아야 자신의 논점을 어필할 수 있지 않을까? 특히 최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금리 부분의 경우 계속 차분하게 읽어보는 시간을 가졌었는데, 미국의 금리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 그리고 개발도상국에서의 금리 변화가 우리에게 주는 변화 등은 사실 예전에는 모르겠지만 요즘에는 직접적으로 다가올 때가 있다. 그만큼 한국은 개방경제이고 세계 금리 변화에도 자주 흔들리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 다시 상승하는 부동산 역시 경제 기사를 보고 미래를 파악할 수 있다. 최근의 반시장적인 각종 정책들에 대해서 올바른 비판을 할 수 있을런지, 그리고 부동산 가격의 등락에 따른 경제의 영향에 대해서도 좀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다. 특히 미국이나 중국과는 다르게 한정적인 땅과 꼭 자신의 집을 가져야 겠다는 국민성을 종합해 볼 때 아직 더 오를 수 있는 여지는 충분히 남아있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저금리가 계속 되는한 부동산에 대한 수요는 줄어들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어쩌면 국가에서 정책을 피거나 금리가 변동되는 것을 보고서 미래 부동산을 미리 예측한 사람이 이쪽 분야에서 성공하지 않았을까?

 

뒤의 내용은 경제기사에 대한 내용을 직접 보고 풀이를 해 주는 내용들이다. 저자의 개인적인 의견도 들어갔지만 결국 자신이 그 내용을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미래를 예측해 봐야 한다. 신문은 그런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다. 특히 돈과 가장 큰 연관을 가진 경제기사는 현재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아닐까? 이런 신문을 읽고 있는 모습이 주변에서 이상하게 생각되는 이런 상황이 조금은 아쉬울 따름이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