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2.03.26 로켓 이얼스
  2. 2021.04.10 요즘 것들의 사생활 '먹고사니즘'
2022. 3. 26. 21:41
300x250

 

가장 아름다운 세대?

모든 사람은 아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로 2030 세대를 가장 아름다운 시기라고 할 것이다. 아직은 조금 어설프지만 할 수 있는 것이 너무나 많고 어려운 것도 젊음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즘 보면 가장 혼돈에 빠져 있는 세대가 바로 이 세대가 아닌가 생각이 된다. 나는 이미 40대가 되어서 그 시대가 그립고 좋아 보이지만 막상 그 세대는 현재를 매우 고통스러워한다.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겠지만 취업하기는 쉽지 않고 세대 차이가 존재하며 거의 모든 물건들의 가격이 상승되어 쉬이 구매하기 힘든 상황이 되었다. 인생은 한 방이라고 도박적인 수를 쓰지만 거의 대다수는 실패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과연 이 시기에 어떤 것을 하는 것이 좋을까?

 

꼰대라고 생각해도 좋다. 

어쩌면 저자는 이 시기에 가장 혼돈스러웠지만 그래도 가장 필요한 것들을 나열해 놓았다. 특히 이 책의 사이드라벨에 있는 내용은 너무나도 마음에 든다.

  "20대의 인생은 로켓과 같다! 살짝만 각도를 틀어도 도착지는 180도 달라지니까"

표현이 너무 아름답지 않은가? 지금 당장 자그마한 차이라고 생각이 되는 것이 나중에 되면 큰 차이로 나타나듯 이 시기에 시작한 것이 습관이 되어서 많은 인생 변화를 겪게 된다.

 

부모님을 보면서 안타까운 것이 있다.

자신들만의 취미생활이 없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과 한꺼번에 하거나 돈을 많이 들여야 할 수 있는 취미가 있지만 혼자서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코로나 시대에는 어떤 취미생활을 해야 할지, 어떤 일을 해야 즐거울지가 전혀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신 모양이다. 인생의 후반전에 이르러 이제는 조금 몸이 편해진 시기인데 오히려 너무 할 것이 없는 나머지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사실 2030 세대부터 그러한 취미를 여러 가지 준비를 해야 한다. 한국 사람들의 노년 취미는 거의 대부분 등산이나 그런 것으로 귀결되는 까닭은 돈 문제도 있겠지만 취미의 다변화가 너무 안되어서 그럴 수 있다. 그래서 사전에 취미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 습관을 길러야 한다.

나 역시 이 부분을 보면서 굉장히 반성을 하였다. 운동을 매 번 한다고 한다고 하고 항상 뒤로 미루는 것은 내가 '움직이기 귀찮아서' 일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계속 미루다가 보면 몸이 하나 둘씩 망가지는 것을 느끼게 되고 그 시기부터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싶어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 될 것이다. 습관의 힘이 중요하다는 것은 이때 억지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너무나 자연스럽게 그 시점이 되었을 때 움직이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되면서 몸의 능력이 향상된다. 나중에 할 수 없는 운동들이 너무 많으니 몸이 정점에 이르렀을 때부터 하나씩 습관을 길러야 한다.

 

그리고 사람이다.

인생에서 가장 필요한 반려자를 찾는 것과 더불어 친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언제부터인가 학교를 졸업하고 나면 이상하리만큼 친구를 사귀는 것을 어려워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결국 우리는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사람과 만나고 부딪히면서 살아가게 된다. 뭔가 어려울 수 있지만 먼저 한 마디 더하고 다가갈 수 있는 것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며 특히 배우자를 탐색할 때는 단지 마음이 이끌려서라기 보다는 이 책에서는 뭔가 전략적(?)으로 해 보는 것이 후회를 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다(사실 이혼율이 점점 높아지는 것을 생각해 보면 필요한 과정이기도 한 것 같다) 2030 세대에 할 수 있는 것은 다 해 보지만 그래도 이런 것은 꼭 해 보고 가라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아직 그 시기이신 분은 꼭 한 번 다 해보는 것이 어떨까?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21. 4. 10. 12:55
300x250

 

살기 참 힘든 세상이다.

한국에 인구 밀집도가 너무 높아서 그럴까? 결혼하기도 어려운 데다가 집도 구하기 힘들고(뭐가 앞이고 뭐가 뒤인가) 아이 낳기도 두려운 상황, 그리고 일자리 구하기도 어려운데 마음에 드는 일자리는 너무나 경쟁이 높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이렇게만 바라보자면 뭔가 암울하기만 하다. 그런데 한 편으로는 과거 철옹성 같았던 거대 산업이 조금씩 틈이 생기면서 그 사이로 많은 스타트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무조건 노력만 하면 되는 세상에서 '요령껏 알아서' 하면 성공할 수 있는 길도 열리고 있다는 것이다. 과거 세대의 사람들에게 교육을 받았던 사람들이 그대로 하면 된다라는 것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면서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비단 한국만 그런 것도 아니다. 과거 최고 인재들만 가던 미국 월스트리트의 금융권도 어느덧 점차 줄어들고 실리콘 밸리, 특히 스타트업에 자신의 인생을 걸어본 사람들이 넘쳐나고 있다. 우리는 왜 그런 도박과 같은 일을 하고 있는 것일까?

 

지금 여기 요즘 '것들'의 새로운 돈벌기 문화가 적혀 있다.

N 잡러라는 단어를 만들어 낸 사람도 실제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그 단어를 만들어 냈다. 나 역시도 회사원이지만 사내에서 실제로 없어지고 있는 업무를 눈 앞에서 보면서 나의 생활이 앞으로 20년, 30년을 장담하지 못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 업무가 사라지면 다른 업무를 배워야 하는데 과연 그게 빠르게 가능할까? 나의 미래를 단순히 회사에 모두 맡길 수 있을까? 이제 와서 드는 생각은 이제는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 40대에 접어드는 나도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데 지금 2030 세대 들은 과연 어떻게 하고 있을까? 그들은 이렇게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시작하고 있다. 이제 회사가 나를 먹여 살려주는 곳이 아니라 회사는 내가 일을 하기 위해 계약을 한 하나의 장소에 불과한 것이다.

 

하지만 세상의 시선은 쉽지 않은 듯 하다.

부모님의 힘을 빌긴 했지만 청소를 통해서 자신의 업을 이어가는 한 사람이 있다. 그런데 세상의 시선은 왜 대학까지 나와서 청소를 하고 있느냐라는 이야기이다. 돈을 버는 것은 똑같은 것인데 말이다. 나도 그런 시선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다. 몸을 쓰는 일이 좀 더 힘들고 낮은 등급의 업무라고 생각이 되고 사무직이 더 좋다고 생각을 하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당사자는 그런 시선이 좀 부담스러워도 자신의 꿈을 키우기 위해서 거쳐가는 일이라고 생각을 한다. 어쩔 수 없이 일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일을 통해서 다른 일을 만들고 해내기 위해 한다는 의미이다. 우리는 과연 이런 사람에게 어떤 시선을 보내야 하는 것일까? 사실 아무런 시선도 보내지 않는 것이 맞긴 하지만 일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은 많이 바뀐 것 같다. 일이 나의 전부가 아니게 된 것처럼 말이다.

 

센스가 넘치는 그녀는 사실 센스가 없다고 구박받던 사람이었다.

사람은 사실 어떤 위치와 일을 하느냐에 따라서 자신의 능력을 백분 발휘할 수 있고 없고 가 나는 것 같다. 과거 치기공업을 하던 그녀가 마케팅에 눈을 뜨고 과감함을 통해서 배민에 입사를 했다. 여기까지라고 하면 인간승리라고 이야기를 할 수 있지만 그녀는 배민에서의 생활에서 성공적으로 적응을 했음에도 또 다른 행보를 위해서 회사를 나오게 되었다. 그녀가 이상한 거 아니냐고? 과거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그렇게 생각을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르게 생각을 해 보면 '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때 결정을 하겠다'라는 2030 세대의 마음이 느껴진다. 우리는 뭔가 자꾸 핑계를 대고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을 할 수 없지만 그들은 다르고 과감하다. 나는 그들의 행보가 너무나 부럽다.

 

부동산, 주식, 코인 등 투자가 대세인 시대에...

가상화폐도 신기했지만 온라인 부동산도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신기하지 않은가? 각종 블로그와 SNS를 관리해 주는 업체도 등장했다는 것이다. 개인의 사진이나 글을 쓰는 것 이외에도 하나의 소통창구이자 홍보로도 많이 사용되는데 이것조차 관리해 주는 업체이다. 한편으로는 좀 씁쓸하기도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덜 받기 위해서 이렇게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이라 생각을 해 본다.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편리한 업체들이 나타날까? 하나하나 모든 것을 맡기고 나면 정작 나는 무엇을 해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나 자신을 탐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사실이다. 앞으로의 세대가 바꿀 일자리의 변화 기대해 본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90년대생x경찰일기  (0) 2021.05.16
공직의 문  (0) 2021.05.10
나의 학교 분투기  (0) 2021.04.08
오늘 밤은 맘 편히 자고 싶어  (0) 2021.03.28
떠나지 않고도 행복할 수 있다면  (0) 2021.03.14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