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1. 16. 23:37
300x250

 

서두에도 이야기 했듯, 반도체에 대해서 제대로 아는 것이 없이 갔는데 너무나 당연하게 시련이 왔다. 내용은 Wafer에는 끝쪽에 Ingot ID라고 하여 Wafer의 No를 Labeling을 하는 것이 있는데, 그것을 제거하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그대로 놔두는 것이 좋을지 묻는 토론 면접 부분이었다.

아뿔싸... 애초에 그게 뭔지도 모르고 Wafer라는 것은 그냥 둥근 실리콘 덩어리라고만 알고 있지, 내가 거기에 번호가 있는지 없는지 알게 뭔가... 라는 생각을 하고 이미 반쯤 포기하고 있을 무렵 자리가 한가운데 떡하니 있다는 사실을 조금 후에 알게 되었다.

 

"가운데 계신 분이 사회자 봐 줄 수 있을까요?"

 

희안했다. 다들 이미 결과를 알고 있는 듯 했고 그것이 있던 없던 '나는 어차피 할말이 많으니 상관없어 흐흥' 이런 분위기였다. 다들 그저 부러웠다. 그럼, 예전에 다른 사람들이 사회를 어떻게 봤더라...

손석희? 이거 뭐 이름만 알지 제대로 본적이 있어야 말이지... 그럼 또 누가있나.. 여기서 유재석 처럼 재미있게 사회를 볼 것도 아니고...

 

 

<좀 도용했습니다. 손석희 사장님^^>

 

그런데 의외로 사회자의 역할이 내가 딱 맞았나보다. 단순히 의견 정리해서 중간중간 설명해 주고 내 의견은 전혀 제시하지 않고(당연히.. 모르니까 제시를 안하겠지...) 토론을 이끌어 가니 어느덧 15분이 훌쩍 넘었더라. 그래서 종료되었는데 의외의 반응

 

"사회자가 참 잘 본다."

 

오, 의외다. 사실 내 재능은 사회 보는 것에 있지 않을까? 라는 어이없는 생각과 함께 토론면접이 끝났고 인성면접장으로 이동했고 사실 인성면접에서는 키가 190cm이었던 관계로 주구장창 키 이야기만 하다가 끝났다. 왠지 인성면접은 그냥 면접하기가 귀찮아서 아무거나 물어보는 장소가 아니었나 싶을 정도로 앞에 있는 사람도 뒤에 있는 사람도 그냥 개인적인 질문만 하다가 끝난 것 같다.

 

자, 이제 오늘에 마지막 난관인 기술면접이 남았다.

사실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을 남에게 설명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미 회사를 10년 가까이 다녔음에도 자신있게 내가 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할 수는 있지만 정확히 '어떤' 것을 하는 가에 대해서 설명하라고 하면 조금 어려움이 있다. 단편적으로 하는 일이야 어느 회사나 다 똑같을테고 뭔가 다른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물어볼텐데, 사실 Wafer를 만드는 것은 내가 아닌 Robot이 하는 업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런지 Wafer 만들어. 라는 말은 절대 하지 않고 있다(그래서 설명하기가 어렵다... 청소한다고 해도 믿지도 않고 말이지...)

어찌됐건, 주제를 주고 10분동안 생각한 다음 발표하는 것인데, 아마 100분을 줘도 무슨 소리인지 모르고 그냥 들어갔을 주제였다.

 

'태양광 발전과 태양열 발전의 차이를 설명하라'

 

10년이 다 된 지금까지도 이것을 기억하는 것을 보면 상당히 인상 깊었던 내용인거 같은데, 지금까지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 사실 이유는 이렇다. 모르는 것은 사실인데 회사에서 당시에 추진하던 것이 태양열발전의 전지를 구상하고 있었던 듯 하다, TF까지 꾸려져서 진행을 한 것 같은데, 생뚱맞게 유가는 향후 몇 년 뒤부터는 쭉쭉 떨어져서 해당 발전의 필요성이 사라졌다. 그 사이에 2차전지 발전과 LED의 대두가 진행되면서 다른 계열사로 이동이 되었고, 결국 태양광/열 발전은 그냥 낙동강 오리알이 되었다.

뭐, 간략하게 설명하면 빛과 열의 차이인데, 빛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것과 열에너지를 전기를 바꾸는 것이라고 보면된다(너무 간단한가?) 어찌됐건 당시에는 그것도 몰라서 그냥 무작정 면접실 안으로 들어갔다.

 

"제가 솔직히 이 부분은 공부를 안해서 모르겠습니다. 그래서 그런데, 다음주에도 여기 면접이 계속 있는 것 같던데 다음주에 다시 와서 설명하면 안될까요? 어설프게 설명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는 편이 더 좋을 것이며, 놓치지 않을 인재라고 생각하실 것입니다."

 

솔직히 지금 생각하니 오글거리긴 한다. 거기다가 완전 미친놈 같다. 뭘 믿고 저런 헛소리를 했는지 모르겠는데 어차피 토론면접 때 한 번 충격이 와서 정신이 혼미해진 상태에서 했고 너무 일찍 일어나서 피곤한 상태가 지속되니 그냥 좀 마무리를 하고 싶었다. 뭐... 남들은 10분 이상 하던데 난 3분 만에 튀어나왔다.

 

"다른 회사 찾아보자"

 

라는 생각을 했지만 당장 남은 곳이 몇 개 없는 상황. 돌아오는 길에도 푹 잠을 잔 나로서는 이제 낭떠리지 밖에 남지 않은 것 같았다. 내가 일을 해주겠다는데 왜 받아주질 않는 거야??

300x250
Posted by 오르뎅

오르뎅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2014. 11. 15. 01:51
300x250

 

최근 국가적 차원에서 '창의성' 이 중요시 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과 제조로만 이루어지던 많은 공업들이 점차 중국/베트남 같은 곳으로 넘어가기 시작하자, 3차 산업으로 대두되는 서비스와 창조 산업에 집중하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이런 것이 선진국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라고 볼 수도 있는데요, 그동안 군대식 방식에 젖어있어 한 번도 고민하지 못했던 창의성에 대해서 억지로 하려고 하니 그것도 힘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한국이 가장 잘하는 Role Model을 찾아나서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스라엘입니다. 세계 경제를 움켜쥐고 있는 유대인들의 아이디어와 창조성을 배우고자 나서기 시작한 것이지요. 사막 위에 세워진 국가인데다가 나라를 굉장히 많이 잃었던 적이 있던지라 한국과도 많이 비슷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성장 과정은 완전히 다른 것을 본다면, 지금은 그들이 부러울 따름입니다.

 

세계 제조업을 주름잡던 미국과 일본을 정말 순식간에 따라잡을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일단 무조건 많이 열심히 무지하게 일하자' 라는 모토였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앞만 보고 뛰다보니 그동안 전혀 하지 못했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과 서로 소통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제 중요성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사람이 원래 가지고 있던 버릇을 버리기 힘든 것처럼 상하 관계에만 목숨을 거는 세상에서 창조적인 것이 나오기란 너무 힘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각 회사에서 직급을 줄이거나 아예 모든 사람의 직급을 없애는 방법등을 활용해 보고 있지만 실제로 직급 자체가 없다고 할 뿐 상하관계는 계속 존재했던 것 같습니다.

 

자, 그렇다면 우리가 잘하는 벤치마킹을 해 보자면 창의성의 '비밀'은 바로 '질문' 입니다. 사실 지식을 최고로 습득해야 하는 대학교에서도 수업 마지막에 질문을 하는 사람을 보면 비난의 눈초리를 감추지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자유로운 토론과 소통이 되어야 함에도 어째서 일방통행 식 강의만을 고집하는 것일까요? 실제로 독일의 대학에서는 강의를 할 때 일반 의자가 아닌 원탁형 의자에 모두 앉아 진행한다고 합니다. 서로 질문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만든다는 것이지요. 사람들은 사실 어떤 상황이든 그렇게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어야 자신의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다고 하니 이 방법은 토론을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겠지요.

 

토론에서는 리더의 역할이 가장 중요합니다. 리더가 중심을 잡지 못하고 우왕좌왕한다거나 '자 다른 의견 없나요?' 와 같은 무책임한 발언 혹은 고민하지 않는 발언이 되어버린다면 '이 사람은 회의를 빨리 끝내고 싶어하는 구나' 라는 인상을 심어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지 않기 위해서는 회의의 주체자가 먼저 사전에 공부를 하고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지요. 또한 그 회의가 '재미있는' 회의가 아니라 '힘겨운' 회의가 되도록 여러 가지 생각을 강요하는 방식의 화법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김 차장님께서 이러이러한 방법론을 제시했는데, 어쩌면 부작용이 존재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부작용에 대해서 한 번 이 차장님께서 말씀해 주시는게 어떨까요? 박 과장님께서는 해결책에 대해서도 한 번 고민해 주셨으면 합니다."

와 같은 발언을 말이지요.

 

점점 더 세상은 복잡해지고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성공하는 사회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지금도 자본이라고는 똑똑한 국민밖에 없는 한국에서 갖춰야 할 것은 이런 사람들이 나올 수 있는 토대를 만드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이 책을 통해서 협업과 토론하는 방법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졌으면 하고 직위고하를 막론하고 누구나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