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거'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3.03.27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 1
  2. 2022.04.01 비혼이고요 비건입니다
2023. 3. 27. 21:36
300x250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
억지로 사랑하고 싶지 않지만, 평생 혼자 살아가기는 싫어! 연애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두 사람의 유쾌한 동거 생활 일본 NHK 방영 직후 뜨거운 공감을 불러일으킨 드라마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의 오리지널 소설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이 아르테에서 출간되었다. 각본가 요시다 에리카가 직접 집필한 이 작품은 누구에게도 로맨틱한 감정과 성적 이끌림을 느끼지 않는 두 사람이 동거 생활을 시작하면서 주위에 파문을 일으키는 이야기로 ‘성적소수자에 대한 이야기를 개념적으로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생활의 사소한 세부 묘사를 정성껏 쌓음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공감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찬사를 받으며 무코다 구니코상, 제59회 갤럭시상 TV 부문 특별상, 제77회 문화청 예술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각본가로 성공을 거두며 스타 작가로 떠오른 요시다 에리카는 드라마에서 표현하지 못한 두 사람의 속마음과 감정의 파동을 진솔하고 섬세하게 그려내어 밑줄 긋고 싶은 문장이 가득한 작품으로 완성했다. 『사랑할 수 없는 두 사람』은 세상이 강요하는 평범한 삶 속에서 누구나 한 번쯤 느꼈을 답답함을 따뜻한 시선으로 어루만지는 동시에, 연애 상태가 ‘보통’이라고 여기는 세상에는 조용한 팩폭을, 진정한 행복을 찾기 위해 용기를 내는 사람들에게는 힘찬 응원을 보내는 소설이다.
저자
요시다 에리카
출판
아르테(arte)
출판일
2023.03.27

 

꼭 결혼을 해야 해?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듣고 싶다면 한 번 꼭 볼만한 소설책이다. 사쿠코와 다카하시는 어쩌면 천생연분일 수도 어쩌면 절대 만나서는 안될 사람이기도 하다. 누구에게도 로맨틱한 감정과 성적 이끌림을 느끼지 않는 여자와 사랑하지 않아도 괜찮다는 남자가 한 집에 살게 되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사실 남녀 사이에 친구란 존재하지 않는다고 했던가?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도 내심 그들이 뜨거움 밤을 보내고 뜨거운(?) 사이가 될 것이라고 확신을 했다. 사실 생각해 보면 이상하지 않은가? 이성이 만나서 서로가 같이 사는데 사랑이 생기지 않는다는 그런 말도 안 되는 사실이 말이다.

 

에이로맨틱? 에이섹슈얼?

사쿠코가 자주 보는 블로그에서 어쩌면 너무나 우연히(?) 자신을 지칭하는 듯한 글을 보게 된다. 그리고 우연하게도 그 글을 쓴 사람을 자주 가는 청과 코너에서 만나게 된다. 그게 바로 다카하시라는 사람. 그리고 복잡한 감정이 오고 가는 시점에 그와의 대화가 생각보다 괜찮다는 생각을 하게 되고 그로서 그와 함께 살아보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다. 집에 있으면 답답하고 친구와 살기 위해(지즈로) 준비를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게 잘 되지 않았다. 그런데 사랑이나 섹스 없이도 다른 사람과의 삶이 가능하다고 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처음 만나게 된 것이다. 행운일까?

 

다카하시 역시 마찬가지였다.

평생 혼자 살아가고 싶은 생각은 추오도 없다. 하지만 나의 직장과 나의 집에서 벗어나고 싶지는 않다. 과거 할머니와의 추억이 담겨있는 이곳에서 평생을 함께 보내고 싶은데 혼자 살기는 싫다. 그 역시도 처음에는 뭔가 어색했지만 사쿠코와의 인연이 결코 나쁘지만은 않다. 그리고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에 이성이 아닌 그냥 친구로서, 같은 '임시 가족'으로서 대화를 도란도란할 수 있는 시간이 너무나 행복하다. 그는 어쩌면 우물 안에 있는 개구리이지만 그 우물 속이 너무 좋아서 애초에 나갈 생각이 없던 사람이었다.

 

그런데 그에게도 나가야 할 시기가 온다.

많은 다른 가족의 모습이 오고 간다. 사쿠코의 동생이었던 미노리 가족에게서 본 불륜의 흔적은 의외로 사쿠코에게는 크게 와닿지 않았나 보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조금 배제하고 보자면 그저 누군가와 밤에 운동을 한 것과 같이 느껴지는 그녀. 하지만 그녀에게는 그에게 없는 '앞으로 나갈 용기'가 있는 것 같다. 처음에 동거를 시작한 것도 그녀이니 마지막을 장식하는 것도 그녀가 된다. 우물 안에 개구리로 있던 남자에게 그 우물을 자신에게 넘기고 이제는 나가서 다른 곳을 보라고 한다. 우물을 지켜야 하는 의무감이 있었던 그에게는 꽤나 솔깃한 이야기다. 우물도 지키고 나도 지킬 수 있는 그런 대안 말이다.

 

마지막은 다소 잔잔하다.

두 사람은 아마 행복했을까? 아니면 다른 사람들과의 인연이 되어 누군가의 아빠, 엄마가 되었을까? 책을 덮으면서 안 그랬을 확률이 더 높다는 생각을 했지만 나는 개인적으로는 에이로맨틱이나 에이섹슈얼 자체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물론 이 책이 그런 것을 이해하는 사람만 읽어야 하는 책은 아니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런 감정이 어쩌면 인생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식인데 그것이 없다면 얼마나 무미건조할까 생각을 해 보았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리머빌의 몬스터 사냥꾼  (2) 2023.06.06
챗지피티가 말했다  (0) 2023.06.05
퀸 오브 킹즈  (0) 2023.02.23
기억이 잠든 계절  (0) 2023.01.29
구로동 주식 클럽  (1) 2022.12.28
Posted by 오르뎅
2022. 4. 1. 23:24
300x250



와, 비혼 주의자도 사실 그리 많지는 않은 거 같은데 플러스 비건이다.

책의 제목을 보면서 '와 이 사람은 정말 나랑 전혀 안 맞는 사람이다'라는 생각을 했었다. 난 결혼은 필수라고 생각을 하고 있었고 고기 없이는 하루도 살기 어려운 사람이니 말이다. 그래도 왠지 반대라는 것 자체가 책을 이끌리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었다. 대체 비혼에 비건까지 있는 사람은 평소에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거기다가 작가 이름에 '편지지'가 있다. 예명 같지만 묘하게 이쁜 예명인데, 대체 어떤 사람일까?(설마 편지지라는 사람이 남자는 아니겠지?라고 반복해서 생각을 했었다)

 

비혼 주의자인데 가정은 있다?

아, 정정한다. 남자 친구는 있다. 동거하는. 사실 비혼 주의자끼리 같이 잘 살려면 양쪽 다 비혼 주의자여야 하는데 희한하게 둘 다 비혼 주의자로 만나긴 했다. 한 명은 페미니스트이고 한 명은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고. 물론 뭔가 이득이 있다면 결혼이라는 것을 하긴 한다고 하지만 적어도 이 책을 쓰는 동안까지는 특별히 필요성을 못 느끼고 있긴 한가보다. 한편으로는 느슨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가장 서로가 피해를 보지 않는 관계가 아닐까? 어찌 됐건 이 책의 서두에는 둘이 어떻게 만나게 되었고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가 나온다.

 

비건 주의자는 뭐, 익히 알고 있는 그런 이유다.

대학교 때 알던 여자분이 있었는데 같은 동아리에 소속이 되어 있어서 자주 만나는 사이긴 했다. 그런데 하루는 같이 밥을 먹으려 가려고 했는데 고기를 먹지 않는다고 하여 굉장히 놀랐던 기억이 난다(그때는 비건이라는 단어조차 몰랐다) 이유를 물어봤더니 소를 도축하는 모습을 보고 충격을 받아서 그렇다고 하는데 나는 여행을 가서 직접 염소도 죽여본 몸이라 그게 왜 이상한 것인지 이해하지 못했다. 저자는 조금은 다른 이유지만 동물이 불쌍하고 왜 저렇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원초적인 질문에 자신이 먼저 고기를 먹지 말아야겠다는 답변을 한 듯하다.

 

비건도 종류가 많다. 그래서 싸움도 많다.

완전한 비건과 조금은 다른 것을 곁들여 먹는 사람이 같이 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발생이 되는 문제가 있다. 서로 간에 음식을 이해는 할 수 있으나 결국 자신이 원하는 것을 먹어야 하기 때문에 자주 다툰다고 한다. 한편으로는 남자는 여자와 같이 살기 위해서 길러온 수염과 그 외에 머리를 제외한 모든 털들을 제모했으면서 왜 저건 또 맞춰주진 못할까라는 의문이 생기긴 했다. 하지만 안 되는 것은 안되는 것이니까 그들도 여느 연인들과 같이 다양한 싸움을 한다. 다만 현재의 사이가 딱 좋기 때문에 더 심하게 혹은 더 깊숙이 들어가지는 않는 것이 아닐까?

 

한국에서도 비혼과 비건이 많이 퍼지긴 했다.

이제는 심심치 않게 들려오는 것을 본다면 본인들의 자유 의지가 더 중요한 세상이 된 것은 맞는 것 같다. 그들의 의견은 존중받아야 하고 다른 사람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그들이 거꾸로 우리에게 그것을 강요하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비혼이지만 애인과 동거는 하고 있고, 비건이지만 라면은 먹는 신기한 동거인이지만 어쩌면 미래에는 이러한 가족 형태가 굉장히 많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