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5. 19. 20:47
300x250
 
내 안의 요술램프를 깨워라
어린 시절을 세상의 약자로 보낼 수밖에 없던 한 청년이 있다. 반 아이들에게 가정사를 숨기기 위해 친구들과 어울릴 수 없었던 이 청년은 남 앞에 서는 것조차 허락되지 않았다. 그곳을 뛰쳐나온 그는 무작정 서울로 향했다. 닥치는 대로 일을 했다. 하지만 생활은 나아지지 않았다. 매 끼니를 라면으로 때워야 했고, 남들이 흔하게 먹는 햄버거조차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낮에는 직장에서, 밤에는 노점상을 해서 돈을 벌어야 했다. 7만 원으로 시작한 사업은 만 2년이 되지 않아 1억 원 이상의 순수익을 올리게 되었다. 루저 인생으로 살던 그가 어떻게 억대 연봉을 이룰 수 있었을까? 세상은 돈만 벌면 최고라고 말한다. 돈을 위해서라면 남을 속이고, 죽이기까지 하는 세상이다. 하지만 그는 분명히 말한다. 돈이 내 인생의 주가 되어선 안 된다고 말이다. 돈이 행복의 조건이 되어선 안 된다는 것이다. 내가 잘할 수 있는 일, 정말 자신있는 일을 해야 한다. 남을 속이며 돈을 벌면 안 된다. 정직한 정신으로 열심히 피땀 흘린 노력은 배신하지 않는다. “돈을 좇으면 안 된다. 돈이 나를 따라오게 만들어야 한다.”
저자
이승주
출판
생각수레
출판일
2019.06.20

 

나는 할 수 있다.

가끔 자존감과 자신감이 떨어질 때 나 스스로에게 외치는 단어이다. 물론 이렇게 외친다고 갑자기 힘이 나고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말의 효과'라고 할까? 약간의 긴장감 완화와 더불어 뭐라도 해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겠다는 생각이 용솟음친다. 그래서 개인적으로 '할 수 있다'라는 말을 좋아한다. 이 책의 저자도 아마 비슷한 생각일 것이다. 책의 제목과 같이 '내 안의 요술램프를 깨워라'라고 하는 것은 사실 우리 안에 더 크게 될 수 있는 기회가 분명 존재하고 있다는 의미겠고, 그것을 저자는 어떤 식으로 깨웠는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돈이란 성공했을 때 세상이 주는 피드백에 불과하다?

뭐, 나의 경우에는 돈을 버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진 않는다. 그런데 나의 부모님께서 항상 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때 '너무 돈을 따라가지 말아라, 니가 하고자 하는 것을 열심히 하면 결국 돈은 따라오게 되어 있다'라는 이야기를 자주 해 주셨다. 아마도 저자의 이 말은 그와 일맥상통한 이야기라고 생각이 된다. 특히 앞에 나오는 저자의 다소 우울했던 과거 이야기는 '그러한 역경을 딛고'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하며, 저자의 성격을 보여주는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책에서 보여주는 글의 느낌은 다소 탁하고 과격하다는 느낌이 분명 있지만 적어도 그 진심만큼은 책을 읽는 많은 사람들에게 통하는 내용이었다.

 

사업을 해 보고 싶다.

저자가 하는 다양한 사업들의 대한 내용은 다소 적게 분포가 되어 있다. 그래서 그럴까? 저자가 하는 사업이 대체 어떤 것인지 메일을 보내보고 싶어서 실제로 메일로 적어서 문의를 해 놓은 상태이다(아직 답은 오지 않았다) 이미 군대를 가기 전부터 한 달에 천 만원천만 원 이상을 벌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는데 지금 당장 한 달에 천만 원도 벌지 못하는 나에 비해서 얼마나 더 앞으로 나가고 있는 것일까? 한편으로는 대단하면서 질투도 나고 부러웠다. 그리고 그러한 자신감이 책에서 막 드러나는 것을 보면서 얼마나 의지가 강한 사람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결국 자산을 만들어야 한다.

마지막에 나오는 재테크 방식에 대해서 사실 다른 재테크 방식도 분명 있겠지만 저자는 부동산을 택했다. 많은 연예인들이나 유투버들이 돈을 벌면 가장 먼저 하는 재테크가 바로 부동산이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부동산 불패를 자랑하는 한국 시장의 특수성도 있겠지만, 가상화폐의 문제점이라고 말을하는 '발권력'이 무제한이기 때문에 결국 인플레이션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는 의미도 있다. 10년 전에 1억과 지금의 1억은 너무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 그래서 우리는 사업을 하면서 얻은 돈에 대해서도 관리와 재테크 측면을 철저히 병행해야 한다. 결국 사업을 하고 수성을 하여 유지를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니 말이다. 그런 부분에 있어 이 책에서는 다시 한번 신념과 의지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좋은 점이 있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22. 10. 23. 23:53
300x250

 

1억 연봉?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목표를 하는 금액일 것이다. 물론 미국의 경우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초봉이 2억이 훌쩍 넘어가는 사람도 존재하고 있지만 한국에서 1억이 넘는 사람은 사실 그리 많지 않다. 그런데 이러한 것을 최근에는 뉴스로 많이 접하고 있는데 바로 IT 개발자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올라가고 있다는 소식이다. 최근 이슈 된 다음카카오의 평균 연봉이 무려 1.7억이라고 나오는데 국내 시총 1위 회사인 삼성전자가 1.3억 도 안 되는 것을 본다면 엄청난 차이이다. 물론 비상장사이긴 하지만 가상화폐 플랫폼인 두 나무의 평균 연봉은 3억이 넘어간다. 대체 이런 곳은 무슨 일이 있었길래 이렇게 많은 연봉을 벌 수 있는가?

 

세계 시장은 바로 IT로 넘어가고 있다.

과거 IT를 보거나 들을 수 있게하는 제조업이 엄청난 성과를 이루었다고 한다면 지금은 그 안에서 HW를 조종할 수 있는 SW가 엄청난 부가가치를 가져오게 된다. 한국에서는 불과 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IT 개발자는 그냥 3D업종 중 하나일 뿐이라는 인식이 강했으나(그로 인해서 지원자가 줄어들어 결국 수요가 공급을 넘어가게 된다) 이제는 거꾸로 많은 돈을 주고 모셔야 할 사람이 되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 문제라고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개발자 열풍이 불면서 작년까지만 해도 컴퓨터 공학과를 나왔다고 하면 바로 취업이 될 정도였었다.

 

그런데 누구나 억대 연봉을 받는 것은 아니다.

말 그대로 '돈이 되는' 개발자에 한정해서 잘나가는 것이다. 책에서 나온 것과 같이 하나의 언어가 아니라 여러 개의 언어를 할 수 있고 자기 스스로 프로젝트를 맡아서 이끌어 나갈 수 있는 그런 개발자 말이다. 사실 그들은 지금 이슈화 되지 않았더라도 충분히 그만한 돈을 벌 수 있는 능력이 있었으며 최근 들어서 그런 개발자의 범위가 좀 더 넓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아, 물론 그렇게 경험 많고 능력 있는 개발자가 아직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앞으로도 충분히 억대 연봉이 넘어가는 개발자들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사실 이 책을 읽는 사람은 현재 그러한 개발자가 되고 싶은 사람일 것이다.

최근에는 비전공자도 언어를 배워서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저자는 무작정 남이 가르쳐주는 언어를 배우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수학적인 능력도 같이 되어야 한다고 말을 한다. 스스로 언어를 통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지 못한다면 남이 주는 일만 할 수 밖에수밖에 없는데 코딩이 아무리 재미있다고 하더라도 평생 '나를 위한 것이 아닌 다른 사람을 위한 코딩' 만을 했다고 하면 별로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못할 것이다. 언제든 대체가 가능한 사람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이 업종은 스스로 공부를 하지 않으면 쉽게 도태되는 곳이기 때문에 자신이 주로 하는 언어뿐만 아니라 새로운 언어를 받아들이는 것도 중요하다고 한다.

 

40대도 과연 도전할 수 있을까?

최근 컴퓨터 언어를 하나 공부를 해 볼까 고민 중에 있다. 평생 그런 것에 손을 대보지도 않았지만 우리 아이들이 커 나가는 세대에는 코딩을 하는 것이 어쩌면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했다. 지금 키오스크를 쓰지 못하는 세대가 젊은 사람들에게 도태되는 것과 같이 나 역시도 나중에 그러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스로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었다. 내가 회사를 입사하던 시기에는 IT와 반도체가 분위기가 너무 안 좋았고 중공업, 엔지니어링 등이 평생 잘 나갈 것 같은 업종이었다. 지금은 그 반대인 것을 보면서 내가 하는 일뿐만 아니라 시대에 맞는 것들을 다 습득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개발자까진 못하더라도 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되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자기 관리 및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의 측정법  (0) 2022.11.11
익스텐드 마인드  (1) 2022.10.31
부자들의 인간관계  (0) 2022.10.19
주식 생존의 법칙  (0) 2022.10.19
켄 블랜차드 리더십 수업  (0) 2022.10.12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