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사회를 바라보다 보면 자연적으로 비판적이 될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됩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대통령이라는 존재는 정말 욕을 많이 먹는 존재이기도 한데요, 그러는 와중에 본다면 그와 반대되는 입장과 옹호하는 입장들과 같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절대 하나가 될 수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팽팽하거든요. 그것을 본다면 이것이야 말로 패러독스의 한 면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둘이 하나가 되긴 해야 하는데, 서로 너무 극명한 것으로 보여서 절대 합쳐질 수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니 말이지요.
기업 경영에 있어 가장 큰 패러독스는 바로 노조와의 관계입니다. 특히 한국에서 보이는 강성노조의 경우 항상 신문에 나오는 내용이기도 한데요, 제 3자 입장에서 봤을 때는 이득을 생각하였을 때 왜 노조가 저리 난리인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겠지만 당사자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사원들에게 있어 노조는 자신들의 권리 혹은 이득을 얻게할 수 있는 하나의 존재입니다. 실제로 미국의 호스티스 사의 경우 노조가 바른 판단을 했음에도 사회적으로 보이는 노조의 모습은 강경하고 경영진 또한 강경일변으로 나가다가 회사가 파산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최근 부도가 나는 한국 기업들을 본다면 노조가 있어도 자신들의 월급이나 자잘한 복지 외에는 근본적으로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를 집어주지 못한다는 것이 하나의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기업은 노사가 서로 하나가 되어 나아가야 성공할 수 있는데, 과연 노조가 없는(삼성과 같이) 것이 좋은 것인지(결론적으로 삼성도 새로운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아니라면 현대와 같이 강성 노조가 있는 것이 좋은 것인지는 조금 더 생각을 해 봐야하겠지만 서로의 균형을 맞춰주고 양보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확실히 할 필요가 있는 듯합니다. 패러독스의 한 면은 파업과 해고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서로 가질 수 있는 가장 큰 무기지만 쉽게 사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안전에 대한 패러독스는 미국 포드사에서 볼 수 있습니다. 1970년 대 포드사는 핀토라는 신모델을 출시 하면서 후면의 연료탱크가 후방에서 부딪힐 경우 폭발할 수 있다고 사전에 인지하고 있었으나 여러 전문가들의 계산에 따라 회수하여 수정하는 것보다(리콜) 그대로 출시하여 돈으로 메꾸는 것이 좋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흔히 한국에서도 이런 경우가 많이 보이곤 하는데요, 제품의 완벽성보다 a/s를 통한 해결을 하려고 했던 많은 회사들이 점점 사라져가는 것을 본다면 안전에 대한 부분에 있어서의 타협은 그리 옳은 선택은 아닌 듯 합니다. 그렇게 원치 않았던 리콜을 결국 10년 뒤에 하게 되었으니 말이지요. 10년 간 버틴 것이면 다행이라고 생각을 해야할까요? 아닙니다. 결국 기업 이미지가 떨어져 더 큰 손해를 보게되었으니 말이지요.
이렇듯, 여러가지 패러독스 상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작금의 기업들 과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 모든 것은 결과론적인 것으로 나타나겠지만, 경영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최대한의 도덕을 지키는 선에서 얼마만큼 공격적으로 성공할 수 있는가가 관건일 것입니다. 사실 기업 역량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어느 하나에 집중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니 말이지요. 고객만족을 주면서 노사가 원만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은 어찌보면 패러독스 속에 빠져 있는 것 같지만 그것이 '반대' 라는 의미가 아니기 때문에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는 것을 이 책에서는 말하고자 하는게 아닌가 싶네요.
'생활 속의 독서 > 경제경영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을 해야 결과가 나온다. 실행이 전략이다. (0) | 2014.10.26 |
---|---|
세일이 과연 진짜 세일? 할인 사회 (0) | 2014.10.13 |
진짜 MBA는 바로 여기 있다. 로드사이드 MBA (0) | 2014.09.10 |
욕망을 기획하는 방법? (0) | 2014.08.26 |
탁월함은 어떻게 만들어 지는가? (0) | 2014.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