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4. 6. 23:08
300x250

 

뭐, 지금도 선망의 대상이긴 합니다만, 미국의 투자은행에 취직하는 것이라고 하면 정말 가문의 영광이라고 할 정도로 굉장한 행운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2008년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조금 꺽였다고 생각이 되기도 합니다만, 적어도 투자은행 출신이라고 하면 어디에서든 먹어 줍니다(적어도 한국에서는 말이지요) 그런데 그들이 정말 거기 가서 놀고 먹어도 이렇게 인정을 해 주는 것일까요? 이 책을 읽어보면 기존부터 투자 은행에 취직하고 싶어하던 사람들은 다시 한 번 생각을 해보게 될 것입니다. 업무 강도는 한국에서 힘들다고 하는 회사보다 몇 배 더 힘든 상황이니 말이지요.

 

9 to 5 ,보통 가장 선망하는 회사들의 출퇴근 시간인데요. 월가의 투자은행들이 바로 '이것'을 지킵니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오전 9시에 출근해서 '새벽' 5시에 퇴근한다는 것이 문제라면 문제일 수 있는데요, 거기다가 초반 2년간은 정규직이 아니라고 합니다. 계약직으로 그들의 능력을 평가한다는 것이지요. 평가 결과에 따라 2년 이후 계약을 연장하지 않을수도 있고(실제로 이 책에서 몇 명은 계약 해지가 되어 나가기도 합니다) 계약이 추가연장이 된다고 해도 본인이 다른 일을 위해서 뛰쳐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만큼 투자은행에서 일한 것은 다른 일을 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니, 어쩌면 2년만 딱 채우고 다른 일을 하려고 하는 사람도 굉장히 많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럼 투자은행은 왜 아이비리그에서 학습을 한 유능한 인재를 힘들게 뽑아놓고 정규직이 아닌 비정규직으로 2년을 테스트 하는 것일까요? 회사입장에서 본다면 초기 애널리스트들의 능력은 사실 거기서 거기라고 보는 것 같습니다. 업무에 있어서 완성도가 떨어지고 쉽게 지치는 사람이 생길 수 있는데 그런 사람들을 단순히 면접만 보고 나눌 수 없으니 2년간의 근무를 통해 회사에 가장 적절할 사람을 찾는 것입니다. 그 때문에 많은 보너스를 주어 그들이 적어도 보너스 때문에 일을 하게 할 수 있는 당근을 마련해 둔 것이지요. 보너스가 적다고 한다면 이런 일을 할 사람들이 몇이나 될까 싶기도 합니다. 업무량이 너무 많고 그에 따라 잃어버리는 것(가족과의 시간, 애인과의 시간 등...)이 너무 많아 주변 관계가 많이 망가지는 것도 목격되곤 합니다.

 

이렇게 뛰어난 엘리트들은 결국 끼리끼리 만날 수 밖에 없거나 어떤 자리를 마련해 주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만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투자은행 사람들과 패션계 여성들과의 자리 주선을 하곤 하는데, 여성들도 자신들이 하고 싶은 것을 마음대로 할 수 있으며 많은 돈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투자은행의 남성 직원을 눈여겨 보곤 하며 이 때 하루밤 상대가 많이 이루어 진다고 합니다. 평소에 투자은행에서 제대로 씻지도 못한 사람들만 쳐다보다가 화려하게 치장된 여성을 보면서 눈이 돌아가지 않을 수 없겠지요. 어쩌면 돈이 많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한국에서 기업간 단체 미팅 하는 것도 이런 케이스겠지요.

 

금융위기 이후 많은 투자은행이 합병되거나 문을 닫았으며 미국의 문화처럼 비교적 정리해고도 자주 일어나는 편입니다. 하지만 많은 젊은 두뇌들이 투자은행을 원하고 있으며 투자은행은 지금과 같은 채용 방식을 변화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서히 올라오는 과중한 업무에 대한 회의감과 더 좋은 일자리의 대두(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로 인해서 조금씩 의미가 퇴색되어 가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앞으로의 투자 은행이 어떤 방식으로 커 나갈지는 두고봐야 알겠지만 더 많은 사람에게 기회를 줄 수 있는 그런 곳이 되었으면 합니다. 저도 한 번 들어가서 일해 보고 싶어서 말이지요^^;;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3. 2. 12. 00:10
300x250

 

2008년 가장 큰 이슈는 무엇이었을까요?

사실 많은 것이 있겠지만 세계 최강대국인 미국의 금융위기였던 것 같습니다. 사실 한국의 경우 그 근원지가 아니었음에도 여러 회사들이 기우뚱 거리고 파산한 회사도 존재하였으며, 한국의 많은 금융기관들이 국가로부터 자본을 수혈받는 현상까지 있었습니다. 그것은 그렇게 다들 원하던 글로벌화의 충격이었지요. 예전에는 자국에서 발생된 문제는 자국에서 해결이 가능한 수준이었으나 지금은 자국에서의 문제가 타국의 문제로 번져나가는 현상이 크게 되었지요 펀드도 선물도 옵션도 다 타국의 것을 가져와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자본의 자유가 의외의 결과를 낳는다는 사실은 왜 그제서야 알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 책은 그 때 발생되었던 사실을 기초로 소설같이 기록한 팩션(faction) 입니다. 그래서 사실 이 내용이 진짜인지 거짓인지는 조금 헷갈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실제로 그 사람들이 그렇게 말한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2008년 금융위기를 알지 못하는 사람이 읽기에는 다소 어려운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나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등장하는 인물만 10명이 넘고 금융단어들이 정신없이 쏟아지는 관계로 그것을 하나하나 이해하려고 하다보면 내용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었습니다(저만 그런가요....ㅠ) 주석을 뒤쪽에 몰아 놓는 것보다 중간중간에 넣어주었으면 어땠을까 라는 아쉬움이 남기도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금융위기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나요? 단순히 월가의 탐욕 때문이라고 생각을 한다면 조금은 잘못 짚은 것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그렇게 탐욕을 갖기 위해서는 어떤 시장 배경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지요. 모든 것은 사람의 탐욕 때문에 발생한다고 하겠지만 그것을 감독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기관들이 있습니다. 연방준비위원회나 재무부와 같은 형태의 국가 기관들이지요. 사실 이들은 분명 금융시장의 경찰과 같은 역활로 금융시장의 문제가 발생을 하게 되면 먼저 선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때문에 리먼 브라더스는 파산을 하였고 AIG는 구제 금융을 받게 되었지요. 단순히 보자면 AIG의 경우 보험사이기 때문에 파산할 경우 문제가 더 커질 위험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기서 보이는 것은 결국은 '대마불사' 라는 점입니다. 리먼 브라더스의 경우 국가에서 해결해도 하지 않아도 될 수준이었지만 AIG의 경우 그 금액이 너무 커서 문제가 될 수 밖에 없던 것 같습니다.

 

사실 그 많던 돈들이 다 어디로 갔을까요? 소위 서브프라임 모기지라는 신용등급이 낮은 사람에게도 돈을 빌려줘서 그렇게 되었다고 하지만 결국은 다 월가의 명석한 두뇌를 가진 사람들이 만들어낸 허상에 불과했다는 것입니다. 영원히 가격이 올라갈 수도 없고 그렇다고 영원히 가격이 내려갈 수도 없습니다. 사실 그 흐름을 잘 탄 사람의 경우 성공에 성공을 거듭할 수도 있었지만 결국은 그 늪에 빠져 돌아올 수 없는 강을 걷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시장이 우왕좌왕하고 어려웠음에도 각 금융기관의 수장과 임원들은 보너스를 받고 유유히 사라질 수 있었습니다. 더군다나 미국의 경우 '경험' 이라는 것에 많은 점수를 주고 있기 때문에 회사 하나를 말아먹었음에도 또 다른 회사에서 CEO로 기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그들의 끝은 아직 멀었다는 느낌도 받고 있습니다. 더 많이 벌 수 있고 더 일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것이겠지요.

 

사실 제가 제목에 달았던 것은 그 돈이 사실 있지 않은 돈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사실 금융의 기본 목적은 새로운 투자 방법의 창출이라고 생각은 합니다만 이것은 투자가 아닌 투기와 불과한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통계학적 방법에 힘입어 문제가 발생할 확률을 줄인다고 해서 그 확률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지요. 특히 이경우 하나 두 개의 문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면 그동안 생각치도 못했던 문제로 더 크게 발전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 생각됩니다. 현재 한국도 동일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더욱 늘어나는 하우스푸어들을 바라보면서 과연 우리는 그것을 빗겨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조금 의문입니다. 당장 있는 자산을 처리할 필요는 없겠지만 새로 구매할 때는 조금 더 고민하고 진행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