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2. 20. 11:39
728x90

 

마케팅과 영업의 차이란 무엇인가?

흔히 회사를 지원할 때 보통은 마케팅 쪽이 영업보다 살짝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단순한 이유인 것 같은데 영업은 다른 사람을 만나서 정말 아쉬운 소리를 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고 반대로 마케팅의 경우 직접 대면을 하기보다는 전략을 짜거나 아이디어를 도출해야 하는 입장에 있어서 그런 경우가 많다. 그래서 중소기업의 경우 마케팅과 영업을 하나로 묶어서 하기도 한다. 스스로 아이디어를 도출해서 직접 영업을 하는? 이 쪽 직군의 특징은 전반적으로 이직이 좀 잦은 편이고 실제로 '영업의 신'이나 '마케팅의 신'과 같이 정말 한 우물을 잘 파서 성장한 케이스가 많이 없는 편이긴 하다. 꼭 필요한 업무는 맞는데 성과가 한정적이라고 할까? 

 

보통 경영이나 경제 관련 졸업을 하면 해당 부서로 많이 배치를 받는다.

인사나 기획 등의 업무는 신입사원을 뽑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보통 경력이나 다른 부서에서 착출(?) 해서 진행하는 경우가 꽤나 있다. 회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모르는 신입사원을 덜컥 뽑아 봤자 잡무 외에는 당장 시킬 수 없으니 이렇게 전반적으로 업무를 한 사람을 채용 혹은 부서 이동을 시키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반대로 보통 마케팅의 경우 신입사원을 키우는 편이 확실히 더 낫다고 판단된다. 당장 물건이든 서비스든 그것을 구매할 수 있는 연령대는 정해져 있는데 마케터의 나이가 늙어가는 것은 점차 아이디어의 고갈이나 고리타분한 일을 반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연령이 낮아서 그럴까? 조직은 활기차고 잘 돌아가는 듯 하지만 기초가 부족해서 쉽게 무너지는 경우가 있다.

 

그런 대안으로 나온 것이 바로 MBA 과정이기도 하다.

어느 MBA나 여러 과목들이 존재하고 그 중 마케팅 쪽도 집중적으로 파고들 수 있는 시간이 있다. 이 책은 마케팅 원론에 나와 있는 내용을 함축하고 편하게 만든 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사실 쉽다면 쉽다고 생각할 수 있는 마케팅 내용도 사실은 깊게 파고 들어가면 결국 '소비자의 마음'을 흔들어야 하기 때문에 그것을 하지 못하면 마케터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 결론이다. 특히 그 마음이라는 것 때문에 스스로의 관점이 없고 이리저리 끌려다는 사람이 된다면 마케터로서는 실격이다(책 제일 뒷면에도 그런 내용이 나와있다)

 

이 업무가 스스로 하는 공부가 중요한 것은?

제조업이나 서비스업에서 직접 생산이나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람의 경우 서로 간의 연결고리가 존재하고 자신의 업무를 다른 사람도 할 수 있어야 스스로가 편해지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후배를 가르치고 선배에게 배움을 받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마케터의 경우 그런 경향보다는 소위 '나만 잘나면 되는' 케이스가 많다. 고등학교 때의 시험 같다고나 할까? 같이 으쌰 으쌰 해서 성적을 올릴 순 있어도 당장 내 앞에 있는 사람이 결국 경쟁자가 되기 때문에 쉽게 자신의 노하우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래서 이렇게 기본적인 내용조차 이해를 하지 않거나 적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래서 스스로 하는 공부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내가 배웠던 마케팅 원론 내용이 다 들어가 있다.

대학원에서 마케팅 원론 수업을 무려 4개월을 들었다. 매 번 학습하면서 쉽다고 생각했던 내 생각을 완전히 무너트리는 경우가 많이 있었는데 실제로 행했던 전략과 성공했던 전략들이 계속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내가 생각이 굉장히 짧고 마케터적인 생각을 아직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느꼈던 기간이었다. 그런데 이 책은 그 때 배웠던 거의 모든 것들을 하나에 묶어 놨다. 그래서 책이 다소 딱딱하고 어려울 수는 있으나 초보 마케터로서 발돋움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꼭 이 책을 읽으면서 학습을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중요한 건 여기 다 있으니 말이다(꼭 마케팅 과목을 위해 MBA를 가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이 책으로도 충분한 학습은 된다고 본다!)

728x9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