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항상 돈 문제를 걱정하지만 정작 생활 속에서는 이래저래 버리는 돈이 많은 듯 합니다. 그래서 경제 상식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는 것인데요. 이 책을 읽고 당장 실행할 수 있는 것이 꽤나 많이 있을테니, 한 번 시도해 보심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이 50가지 정도는 내가 아는 경제 상식으로 통해야지요^^
최근 예전과 비교해서 정말 돈이 확 늘어난 것이 어떤 항목이냐고 하면 단연코 통신비 입니다. 특히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무선통신 비용은 정말 어마어마하게 늘어났는데요, 하나의 혁명이라고 불릴만큼 주변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이 없는 세상에 도대체 어떻게 살았을까 싶을정도로, 빠르게 퍼져나갔습니다. 그에 따라 금액은 계속 올라가게 되었구요. 최신 스마트폰이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낼 정도로 우리 생활 깊숙히 들어온 상태에서 작년 10월에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라고 하는 소위 '단통법' 이 시행되면서 암암리에 싸게 살 수 있었던 스마트폰도 이제는 '온 국민 호갱님법'으로 인해서 구형 스마트폰이나 엄청난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구하기가 힘들어 졌습니다. 그래서 이 책에서 선택하는 방법은 바로 '알뜰폰' 입니다.
알뜰폰의 경우 기본료가 일반 통신 3사에 비해 절반정도 수준이며 굳이 엄청나게 최신폰만 추구하지 않는다고 한다면 얼마든지 싸게 구할 수 있습니다. 예전과 같이 굳이 SK를 사용한다고 해서 더 멋져보이고 하는 것은 많이 없어졌으니 알뜰하게 하려면 알뜰폰이 제격이라고 볼 수 있지요.
생활 속에서 가장 돈 많이 들어가는 것은 전기세,가스비용과 같은 세금 형태의 돈 일 것입니다. 저도 얼마 전 가스비를 보고 정말 큰 충격을 받았는데요. 나중에 알고보니 목욕으로 틀어놓고 그냥 놔두는 경우가 많아서 계속 보일러가 가동되어 가스비가 어마어마하게 나온 것을 확인하였습니다(동네 전 세대 TOP이라는...;) 이와 같이 여러 비용 청구는 사용자가 조금만 더 신경을 쓰면 어느정도 감소가 가능합니다. 저와 같은 실수를 방지하던가, 플러그는 전원이 ON/OFF되는 것으로 사고, 1등급 전자제품 구매, LED 전구 조명으로 변경과 같이 시작하기는 조금 귀찮고 어려울 지 모르지만 해 놓으면 두고두고 후회없이 금액 감면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에는 고유가가 아니어서 조금은 무딘감이 있지만 하이브리드 차도 자연보호와 더불어 연비 향상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 아마존과 같이 미국 대형 SITE에서 직접 구매를 시도하는 경우가 늘어나게 되면서 이 책에서도 직구에 대한 상식을 넣어 뒀습니다. 이런 류의 책에서 직구에 대한 내용을 보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인데, 사뭇 달라진 세태를 보는 것 같아서 재미있습니다. 이용 방법과 노하우, 그리고 여러 단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까지 이정도만 알고 있어도 직구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는 것 같습니다. 근데 참 의아하긴 합니다. 어째서 물건너서 배달을 오는 것이 (그것도 소량인데다가 세금까지 붙는데!) 한국에서 대량으로 구매해 온 제품보다 싼 것인지는 좀 의아합니다. 유통 구조 자체가 좀 이상한 것인가요, 아니면 남겨먹는 사람이 많아서 그런 것일까요?
마지막에는 최근 이슈가 되거나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 간략하게 적어놓았습니다. 야간에 택시잡는 방법(번호)이나 중산층의 기준, 좀 웃기긴 하지만 야구 중계를 보다가 파울볼이나 홈런볼에 맞은 사람에 대해서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를 물어보는 질문들이 있습니다. 답변이 참 간결하게 되어 있어 좋았습니다. 이 분은 경제적으로 너무나 많은 활동을 하기에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저처럼 한 방향에서만 계속 일을 하다보면 이런 정보에 많이 늦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앞으로도 매년 이런 책들이 전혀 새로운 정보를 가지고 만날 수 있었으면 합니다.
'생활 속의 독서 > 재테크 관련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런식의 책도 나오네? My Story On ELS (0) | 2015.02.14 |
---|---|
스마트한 월급 관리의 법칙? 호오~? (0) | 2015.01.25 |
정말 추천하는 이 책, 부동산 권리분석의 바다에 빠져라 (0) | 2014.12.26 |
그 여자의 창업 방법, 그 여자의 가게 (0) | 2014.11.17 |
나는 오피스텔보다 공모주가 더 좋나? (0) | 201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