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3. 31. 23:56
728x90

 

최근 장애인 이동권에 관련된 내용이 이슈다.

정확히는 장애인 이동권이 아니라 이권이 조금은 개입된 부분이기도 한데 내용을 찬찬히 읽어보면 뭔가 공감이 가기도 하고 가지 않기도 한다. 그 이유는 뭔가 이분법적인 사고 때문이라고 할까? 권리인가 호의인가가 모호한 부분인데 분명 당장 모든 이동권이 되지 않더라도 많은 예산을 잡아 달라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해는 가지만 방법론에 대해서는 조금 의문이기도 하다(물론 그렇게라도 하지 않았다면 아무도 보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애초에 단체가 누군가를 지지하고 그런 것을 했으니 믿음이 가지 않는다) 내가 장애인이 아니기 때문에 이해하지 못한다고? 우리 아이는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구보다 이해가 가는 부분이다. 하지만 그것이 꼭 권리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이 책에서 나오는 일곱 명의 장애인들은 일반 사람도 하기 힘든 것을 해낸 사람들이다.

뇌병변, 청각장애, 다리가 없는 사람 등등 일반인으로서는 상상도 하기 힘든 사람들이 자신의 꿈을 향해서 계속 진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실 일반 사람도 힘든 것은 맞다. 그리고 이 책에서 나온 분들에게 어쩌면 사회에서 조그마한 배려를 해 주었기 때문에 이 분들이 이렇게 성공을 할 수 있었을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의 노력에 대해서는 절대 평가절하를 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렇게 배려를 받아도 힘든 것이 그들의 삶이니 말이다.

 

처음부터 장애가 있었다면 사실 이렇게 도전하기 힘들었을 수 있다.

선천적인 장애에서 사실 어느정도 성과를 거둘 수 있는 장애라고 하면 거의 청각장애가 유일하다고 생각이 된다. 이 책에서 나온 사람들 중 원래부터 장애를 가지고 있던 사람은 대부분 청각장애인 것과 같은 의미인데 사실 청각장애의 경우 인공 와우라는 수술이 있기 때문에 실제로 생활을 하다 보면 '말을 하지 못한다'라는 정설과 다르게 말을 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말은 조금 어눌하기 때문에 또 배척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그래서 특수학교에서 수화를 배워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긴 하다. 

 

그런데 그런 생활이 반드시 옳지는 않은 것 같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생활을 통해서 그들을 이해하고 말도 할 수 있고 수화도 할 수 있는 아름다운 모습이라고 설명을 했지만 실제로는 청각장애인 조차 최근에는 수화를 거의 배우지 않고 인공와우와 재활을 통해서 정상인들과 가까워지기 위한 노력을 한다. 우리도 그와 같은 경험을 아이에게 시켜주고 있지만(사실 개인적으로 수화를 가르쳐 줄 생각이 조금도 없다) 가끔 장애인들이 모여있는 복지관에 가보면 우리 아이는 이도 저도 아닌 위치에 있는 경우가 많이 있다. 말을 할 수 있지만 장애가 있는 모호한 경계라고 할까?

 

책을 덮으면서 그 경계에 있는 사람들을 이해하는 문화가 생겨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이에게는 다른 사람이 물어보면 항상 '그냥 솔직하게 이야기해, 근데 그거 때문에 다가오지 못하거나 비난을 하면 아빠에게 이야기를 하렴' 이라는 말을 한다. 사람이니까 어쩔 수 없다기보다는 문화가 아직 성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와 다른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아닐까 생각을 해 본다. 특히 어느 쪽에도 포함되지 않는 모호한 상황은 오히려 한쪽으로 쏠려있는 것보다 더 안 좋은 경우가 많이 있는데 책과 같이 극복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의 생각 수준이 좀 더 관대하고 넓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을 해 본다.

728x9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