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12. 5. 21:58
300x250

 

노인은 이제 빠지라고?

아버지가 퇴직을 하고 1년 정도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사람이 이렇게 빨리 늙어가는 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근데 한편으로는 아버지가 너무 정정했다. 심지어 정년퇴임을 했고 거기다가 비정규직이지만 추가로 1년을 더 근무를 하셨다. 적어도 대한민국에서 우리 아버지보다 더 정년을 길게 가져간 사람이 거의 없다는 의미이다. 시니어라고 하는 나이가 되었지만 아직 너무 정정하다. 그리고 할 수 있는 것도 너무 많다. 다만 과거와 차이가 있다면 체력보다는 벽에 부딪히는 경우가 많아서 의지가 많이 떨어지셨다고나 할까? 어찌 됐건 이러한 인력에 대해서 이렇게 아무 방편도 없이 퇴임했으니 바이 바이라고 하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문제가 아닌가?

 

직업이 사라지면서 엄청나게 큰 공백과 사회 문제가 발생을 하게 된다.

어딘가 일이 있어서 아침에 일어나 출근을 한다는 것 밖에 모르고 살던 사람들이 이제는 시간이 너무 많이 남아서 어찌할 줄 모르는 상황이 되었을 때 발생하는 문제도 상당히 크다. 더이상 사람 구실을 못한다는 생각에 우울증도 많이 발생을 하게 되는데 '우리는 과거 세대와는 달라'라고 말을 하더라도 결국 필요한 것은 서로 대화를 할 수 있는 기회와 장소이다. 우리보다 조금 더 먼저 겪은 일본에서는 이러한 비즈니스도 발달을 하고 있으며 서로가 비슷한 연배끼리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각종 이벤트를 만들려고 노력 중이다. 한국 남성의 경우 특히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생각해 보면 나 역시도 그런 거 같다) 점차 그런 권위 의식이나 머쓱함을 좀 내려놓고 점차 이러한 생활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어쩌면 사회 문제도 줄이고 비즈니스 사업으로도 발전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향이라고 생각이 된다.

 

셰어하우스는 어떨까?

한국에 이러한 셰어하우스 열풍을 불게 한 것은 과거 MBC의 시트콤인 '남자 셋, 여자 셋' 이 있다. 사실 그림과도 같은 아름다운 청춘을 저렇게 재미있게 보낼 수 있다는 것에 푹 빠져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셰어하우스에서 생활을 하고 있는데 비단 시니어들도 예외는 아니다. 노인정에 가면 시간을 보낼 수는 있지만 이상한 위계 서열 같은 것 때문에 그중에서도 나이 어린 사람들은 적응을 하기 힘들다. 한국식 '니 나이가 몇이고?'와 같은 것이 정말 불편하다는 것이다. 사실 거기서 막내라고 해도 사회에서는 시니어라고 불리는 나이 많은 집단 중 하나일 뿐인데 말이다. 그렇듯 지금의 시니어들이 원하는 것은 노인정이 아니라 이렇게 마음에 맞는 소수가 어울릴 수 있는 셰어하우스라고 생각이 된다. 이제는 점차 하나의 문화가 되어가지 않을까?

 

이제 시니어들은 자녀에게 의지를 할 수가 없다.

자녀 세대에게 물려줄 것이 많은 사람들이야 사실 이런 문제를 겪지 않겠지만 이제는 대부분 자녀에게 물려주는 게 문제가 아니라 당장 나 먹고 살기도 힘든 경우가 많이 있다. 거기다가 너무 자연스럽게 혼자 살거나 따로 사는 게 당연해지면서 자녀들과 같이 사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 번 따로 살기 시작하면 다시 살기 어려운 것은 서로의 라이프 스타일이 확 바뀌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과거 나의 부모님 세대는 그 위 부모님을 당연하게 모셔야 하는 상황이 되었으나 이제는 그런 의지조차 많이 사라진 것 같다. 점차 1인 가구가 늘어나게 되면서 의지가 아닌 서로 각자 다른 길을 걸어가는 친구와 같은 모습을 보이게 되지 않을까.

 

더 젊어지고 오래사는 세대가 될 것이다.

오래 사는 것이 오히려 큰 문제가 될 것이라고는 과거에는 상상을 못 했다. 과거 환갑잔치라도 하면 다행이다라고 했던 시기가 있었는데 어느덧 환갑은 너무 당연하게 여겨져서 잔치도 안 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특히 한국은 더 빠르고 광폭으로 변화를 하고 있다. 더 젊어지려고 노력하고 젊은 사람들의 것을 익히려고 노력하는 세대가 될 것이며 어쩌면 시니어이지만 시니어라고 말하고 싶지 않은 그들의 욕구를 대변해 주는 다양한 제품들이 나올 것이다. 누구나 시니어를 위한 비즈니스가 좋은 것은 알지만 그 시니어에게 어떤 식으로 어필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지 못하는 것 같다. 이 책에서 시니어들에 대한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어서 도전해 보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고 생각이 된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사회_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세신불자 패자부활전  (0) 2021.12.11
다시 K-를 보다  (0) 2021.12.06
성장 이후의 삶  (0) 2021.12.02
하루 영어 5문장  (0) 2021.12.02
10대가 말하다 틴스피치  (0) 2021.11.15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