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1. 3. 20:46
300x250
 
온라인 마켓, 매출 100억 비밀 노트
이커머스(E Commerce)는 컴퓨터 통신이나 인터넷을 이용해서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상거래를 말한다. 대형마트 중심으로 치열한 각축전이 벌어지던 국내 유통 시장의 중심축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이동하면서 성장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로는 일상에서 비대면 영역이 확대되면서 이커머스 산업의 규모가 더욱 커졌다. 티메프 정산 사태로 한때 위축되었던 온라인 소비 심리도 회복되었고, 다른 온라인 플랫폼들은 온라인 셀러(Seller, 판매자)들과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대안과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N잡 열풍에 힘입어 관심을 끌고 있는 ‘온라인 셀러’는 이커머스 MD(Merchandiser)와 협력하며 하루에 억대 매출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 책에는 24년 차 이커머스 MD(Merchandiser, 상품기획자)인 저자의 이커머스 시장 생존 전략과 매출 상승 노하우가 담겨 있다. 실제 온라인 셀러와 협력해서 성과를 낸 사례도 생생하게 소개했다. 저자는 온라인 셀러들과 소통하며 매일 온라인 유통 채널의 매출 실적, 구매 수량, 구매 후기 등을 확인한다. 하루에 매출 1억 원을 내는 업체부터 한 달에 10억 원 이상, 연간 100억 원, 2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만들어내는 온라인 셀러들과 직간접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온·오프라인 유통 경험이 두루 풍부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강점이다. 이 책은 MD와 셀러 등 온라인 유통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거나 준비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온라인 유통 입문서이며, 실행 가이드다. 온라인 셀러로서 매출이 낮아 고민하고 있다면 솔루션을 제시해주는 해결책이 될 것이다.
저자
김태영
출판
두드림미디어
출판일
2024.10.30

 

이제는 온라인 시대.

나는 2018년에 샌드위치 가게를 한 번 운영해 본 적이 있다. 지금과는 다르게 쿠팡도 그렇게 엄청난 플랫폼이 아니었고 아직은 오프라인에 좀 더 집중했던 시기였기 때문에 그리고 당시 대만 샌드위치의 붐이 시작되는 시점이라 처음부터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그런데 그 붐이 꺾이는데 불과 1년이 걸리지 않는 것을 보면서 유행을 타는 것도 무섭긴 하지만 오프라인의 경우 업종 변경을 하기가 너무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는 이렇게 오프라인으로는 장사를 하는 것을 다시는 하지 않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 이제는 온라인 시대, 너무나 많은 것들을 온라인으로 하고 있다. 플랫폼의 성장은 굳이 오프라인으로 사람을 만나서 음식을 먹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시켜 먹는 것이 더 편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인지하게 되었다.

 

그런 온라인 마켓이 대박이라고?

이전에는 대박이라는 표현이 맞을 수도 있겠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경쟁자가 늘어간다. 유튜버도 이전에는 그래도 어느정도 하면 시청이 보장되는 수준이었는데 이제는 너무나 매일매일 많은 영상이 올라오고 있어서 웬만큼 유명하지 않으면 아무도 보지 않는 상황이 발생된다. 온라인 마켓도 마찬가지다. 같은 제품이 너무나 많고 이제 소비자들도 귀찮다고 찾지 않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도 가격이 더 저렴한 것을 찾고 쿠폰을 찾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하기 시작했다. 플랫폼 별로도 가격이 천차만별로 되는 이 세상에서 대박이라는 표현이 맞긴 할까? 어쩌면 과거보다 경쟁이 더 심해졌다. 진입 장벽이 오프라인 때보다 더 낮아졌기 때문이다.

 

이 중간을 도와주는 MD는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저자는 MD로서 20년 이상 일을 하고 있다. 당연히 개인의 경우 별도의 MD를 두긴 어렵다. 하지만 규모가 점차 커지면서 내 눈으로만 판단할 수 없는 것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러한 분야의 전문가를 찾아가야 하는 부분이 생긴다. 막상 처음에는 위탁 판매 등으로 시작을 하게 되다가 점점 사입을 하는 방식으로 전환을 하고 여기서 더 나아가면 직접 제조를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 수익성 때문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이 바닥이 사실 누군가를 신뢰해서 사업을 해 나가는 것이 결코 쉽지 않기 때문에 점점 내 범위를 넓혀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 책에서 바라보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약 1/4 가량이 '신뢰' 라는 단어로 축약이 된다. 이커머스를 계속 공부해야 한다는 것도 있지만 결국은 사람이 사람과 상대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사람을 선별할 줄 알아야 하는 것, 사기당하지 않고 꼼수를 부리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특히 '무결점'으로 사업을 하면 좋겠지만 실제 하다 보면 문제가 있는 사람과 얽힐 수도 법적으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경험을 통해서 많이 배울 수는 있지만 원칙을 어기면서까지 무엇인가를 얻으려고 한다면 크게 잃을 수도 있다는 사실을 꼭 인지해야 한다는 점이 당연하면서도 굉장히 인상적이었다.

 

언제까지 회사원만 할 수 있을 거 같아?

이제 17년 차로 넘어가는 나에게 항상 이러한 고민이 따라온다. 그런 것 중에 실제 회사 업무를 분사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을 미리 배워둬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영업/판매의 경우 어떤 사업에서라도 활용이 가능하고 특히 이 이커머스 시장의 경우 꼭 사용/활용을 해야 하기 때문이 지금 당장 사업에는 관심이 없더라도 알아두면 정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생각이 된다. 어떤 방법이 나와있다기보다는 이러한 사업의 기초를 차근차근 알려주는 책이며 시작하기 전에 꼭 읽어봐야 할 '비밀 노트'라고 자부한다.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3. 11. 17. 21:22
300x250

 

중국!

정말 많은 나라의 회사들이 진출하기를 원하고 또 진출을 하고 있지만 의외로 전혀 다른 곳에 문제가 발생되어 진출을 포기하거나 철수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선진국의 경제 성장에는 한계가 있고 또 그만한 인구가 수용할 수 있는 나라는 단연코 중국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해서 우리는 단순히 '인구가 많으니까 진출해서 하나씩만 사줘도 10억개 이상 팔 수 있겠네' 라는 안일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시장이 크면 경쟁도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사실도 인지해야 할 것 입니다. 더군다나 좋지 않다고 인식되고 있는 중국제 제품도 어느덧 세계 수위를 다툴만큼 성장이 되었고 단순 경제 성장으로 보면 한국의 발전 속도보다 더욱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미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중국에서 한국은 어떤 돌파구를 마련해야 할까요?

사실 중국과의 교역에서 가장 유리한 입장에 있는 것은 아직은 최첨단 기기입니다. 많은 나라들이 중국에 공장을 짓고있긴 하지만 기술 전체를 공유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물론 중국 내의 기업들과 반드시 합작을 해야 하는 규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공유하고 있는 부분도 있긴 하지만 한국이 예전 경제성장 시절에 했던 것과 같이 기술적인 부족으로 인해 아직은 최첨단 기기에 있어서는 많이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마치 우리가 일본보다 더 큰 전자회사를 가지고 있다고 하지만 그 세세한 부분에 있어서는 일본을 따라잡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지요. 물론, 지금 당장의 이야기 이고 향후에는 따라잡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보긴 합니다.

 

그럼 향후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중기적으로는 한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류는 이미 상하이나 북경에서는 한 번 지나간 추억이지만 2/3급 성에서는 이제 시작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몇 십년간 문화 콘텐츠가 막혀 있던 중국으로서는 한국의 비슷한 정서와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콘텐츠에 목이 마를 수 밖에 없는 입장입니다. 세계 최고의 성형수술 실력을 가지고 있는 것도 중국 여성들로 하여금 관광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부분도 있겠고 한국의 여러 문화콘텐츠를 보기 위해 내한하는 경우도 많이 있으니 중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그보다 더 좋은 item은 없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것도 언젠가는 고갈 혹은 변화가 생길 수가 있으니 항상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바라봐야 할 항목인 것 같습니다.

 

장기적으로 본다면, 인구가 많고 아직은 공산주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상대방을 믿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도 사기가 횡횡한 경우가 많지요. 중국에서 가장 가까운 시장 중 제일 믿을만 한 곳은 한국이 아닐까 싶은데요, 그만큼 육아에 대한 수요나 농수산물에 대한 믿음이 중국민에게 널리 퍼져 있는 상태입니다. 육아의 경우 이미 한국을 뛰어넘었다는 생각이 들정로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한국산 농수산물이 우수한 등급으로 인정받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기회를 가지고 향후 한중FTA를 통해 수출의 길을 더 넓혀 갈 수 있는 방법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어떻게 본다면 거대한 위기이기도 합니다. 국내의 산업과 일치되는 산업이 너무나 많고 중국 내의 기업들의 성장 속도가 장난이 아니니 말이지요. 더군다나 이제는 중국에서는 단순히 공장만 내주는 것이 아니라 기술이전을 하지 않는다면 아예 공장 증설이 불허되는 경우도 비일비재 하니, 중국의 잠재력은 정말 엄청난 것 같습니다. 많은 인구와 더불어 아직 발전될 일이 무궁무진한 중국에서 국가가 이대로 안정화만 된다면 미국을 따라 잡을 수 있는 거대한 시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다만 시대적 영향에 따라서 서로를 믿지 못하고 의심하며 남을 도와주지 못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지탄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생각이 되며, 환경적인 면에서도 발전될 부분이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바로 이 부분을 우리가 파고들어야 하지 않을까요?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