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 경제학? 미시 경제학 아니고?
이 책은 미식 경제학이 맞다. 미시 경제학이 아닌 이유는 실제로 미시 경제학이 아니니까? 어찌 됐건 먹는 것으로 시작해서 먹는 것으로 끝나는 내용에서 경제학이 포함된 책이다. 혹시나 이 책에서 엄청난 원리나 그런 것을 바랐다면 다른 서적을 찾는 것이 맞다. 시작으로는 내추럴 와인이 나온다. 뭔지 모른다면 유기농 야채와 같은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와인을 만들 때 넣는 각종 효모와 이산화황 등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포도를 가지고 만든다는 의미인데 의미적으로는 아름다운 것이 분명 하나 한계점은 짧은 유통기한과 더불어 만들기 '매우 어렵다'라는 문제가 있다. 맛은 음... 뭐랄까 내가 먹어보지 않아서 판단을 하기 어렵다. 물론 나도 비싼 와인이 맛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이 내추럴 와인은 와인 업계에서는 심한 경쟁 중에 나오는 하나의 다른 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다.
핫플레이스에는 왜 항상 맛집이 나오는가?
최근에는 맛집도 엄청 다양화되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뭔가 빈부격차도 점차 심해지는 느낌이다. 그럼에도 핫플레이스라는 곳에 맛집이 빠지지 않는 이유는 우리가 이동하거나 하는 경우 가장 오랜 시간을 고민하고 '꼭 여기는 가 봐야 해' 라고 생각을 하는 부분이 있어서가 아닐까? 지금 핫플레이스라고 이야기를 하는 성수동의 경우 각종 맛집이 즐비하게 있으며 프랜차이즈보다 오히려 개인 가게가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과거 가로수길이나 이태원 골목 등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인데 그러한 모습이 핫플레이스로 바꿀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우리 치즈는 왜 맨날 모짜렐라나 체다야?
이유가 간단하다. 일단 우유라는 것을 매개체로 하기 때문에 신선도의 문제가 생기는데 한국은 반도 국가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해상이나 공중으로 수입을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유의 경우 대량으로 하기에는 수지타산이 맞지도 않을 뿐더러 제품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치즈도 국내에 있는 우유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데 가장 빠르게 만들 수 있고 널리 저변이 깔린 제품만을 생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1000가지가 넘는 제품이 존재하지만 고작 몇 가지만 먹어보는 우리에게 치즈란 그저 입맛을 돋우는 정도에서 멈출 수밖에 없을까? 최근에는 다양한 치즈도 나오기 시작하면 그 저변이 넓어지는 느낌이긴 하다.
오마카세는 어떤 비밀이 있는가?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오마카세의 경우 한편으로는 자신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무조건 비싼 이유는 모든 것을 맡기기도 하지만 판매자로 하여금 금액도 제멋대로 책정을 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라고 생각이 된다. 그럼에도 지금 인기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고급진 곳에서 먹었다는 그러한 마음과 더불어 과시를 하고 싶은 사람들의 마음이 공존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지만 오마카세라고 하는 것이 결코 '무조건 좋은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본인만의 맛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까?
이 책은 참 재미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은 글을 잘 쓴 것도 있겠지만 내가 지금 생각하는 음식 재료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는 '동화' 같은 이야기 방식 때문일 것이다. 관심이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의 과거에 대해서도 많이 궁금해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내가 관심있어 하는 식재료의 과거는, 그리고 지금의 상황은 어떤 상황일까? 궁금하다면 저자와 같이 식재료와 함께 여행을 떠나보면 쉽게 알 수 있지 않을까?
'생활 속의 독서 > 경제경영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브랜딩을 호텔에서 배웠다 (2) | 2024.01.14 |
---|---|
커뮤니티 마케팅 (1) | 2024.01.14 |
선진국 경제의 품격 (0) | 2023.12.10 |
비즈니스 경쟁에서 승리하는 법 (0) | 2023.11.24 |
금단의 세일즈 카피라이팅 (0) | 2023.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