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2. 24. 23:17
728x90

 

수능 시험 때 사회탐구 1등급이었다.

아, 나는 참고로 이과다. 심지어 그것만 1등급이고 나머지는 2등급 조차도 없었던 기억이 난다. 그냥 1등급도 아니고 사회탐구만 만점. 개인적으로 관심이 많았던 것뿐만 아니라 관련 책을 굉장히 많이 읽었던 기억이 나는데 다른 것은 몰라도 사회 과목들은 정말 독서가 답이라고 생각은 된다(이 책에서도 나오는 내용이다) 그런데 요즘과 같이 책 외에도 너무나 재미있게 놀 수 있는 것들이 많은 곳에서 과연 역사책과 같은 것을 많이 읽을 수 있을까? 물론 어린이 베스트셀러에 항상 올라오는 것이 한국사 이야기인데, 나이가 들어가면서 점차 암기로만 외우는 것 같아서 아쉬운 감이 있다.

 

서울대!

나의 와이프도 자녀를 서울대에 보내고 싶다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사실 나조차도 서울대 근처에도 가보지 못한 사람으로서 대체 어떻게 보내겠다는 의미인지는 모르겠지만 한편으로는 서울대에 가기 위해서는 한국사는 필수적인 과목으로 생각이 될 것이다. 다른 과목이야 서로 경쟁적으로 학원을 다니거나 과외를 하지만 한국사 과목은 좀 애매하다. 공부를 하긴 해야 하는데 문제의 출제 범위도 과하게 광범위하기도 하고, 가끔은 자신의 생각이 전혀 없다면 너무나 외우기 어려운 것들 투성이라 흐름을 알고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대장금은 어떻게 날고 긴다는 상궁들을 이겼을까?

대장금 이야기 속에서 대장금은 음식을 만드는 시합에서 자신이 무조건 질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이미 충분한 경력자와 새로운 신입이 경력자가 유리한 게임에서 경쟁을 하는 것은 '난 질 건데 한 번 싸워나 보자'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판을 바꿔야 한다. 어떻게? 나에게 유리하게. 바로 그로 인해서 음식에 스토리텔링을 부여함으로써 혀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얻는 방식으로 승리를 하게 된다. 물론 극적인 부분을 연출하기 위해서 시도한 내용이겠지만 우리는 이렇게 스토리텔링에 마음을 여는 경우가 많이 있다.

 

따분한 박물관? 사실 알면 더 재밌다.

어릴 적 박물관은 너무나 귀찮은 곳이었다. 뭔가 많이 있지만 좀 답답하기도 하고 깨알같이 적혀 있는 내용은 제대로 보이지도 않는데 심지어 재미도 없다. 왜 이런 곳을 이렇게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당시에는 몰랐지만 나중에 미술관에 가면서 처음으로 도슨트를 통해서 그림을 보았는데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대단한 것이 숨겨져 있다는 것을 알았다. 박물관도 마찬가지다. 사실 그 시대의 모습을 가지고 있는 유물인데 그 시대가 머릿속에 떠오르지 않으니 당연히 재미가 없는 것이다. 그런 모습을 현실화해 주는 것이 바로 그들의 역할이다. 한국사도 그렇게 공부를 해야 한다. 머릿속에서 지워지지 않게 말이다.

 

암기 과목 같지만 그래도 암기는 아니야.

말 그대로 암기 과목이라고 생각하고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수능의 경우 한국사에 토론을 할 수 있는 문제는 없기 때문에 암기로 귀결될 수 밖에 없는 불합리가 있다. 대통령이 바뀔 때마다 교육 정책이 바뀌니 이것도 다시 변화가 있지 않을까 생각은 하지만 무조건 암기가 아니라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부모 자녀 간의 많은 대화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 우리 아이도 역사 과목 때문에 힘들어하고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 왜 그렇게 부모가 난리인지 이해를 해 줄까? 공부법을 이해하면 좀 더 배우기 쉽다. 한 번 보고 아이들에게 어떻게 전달할지 고민해 보자.

728x90

'생활 속의 독서 > 사회_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권경영 해설서  (0) 2023.03.07
CES 2023 DEEP PREVIEW  (0) 2023.03.06
헛소리의 품격  (0) 2023.02.14
백앤아 - 미스터리 100층 감옥  (0) 2023.02.04
편집자가 되기로 했습니다  (0) 2023.01.06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