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3.12.18 미식 경제학 1
  2. 2010.10.29 남은 식재료는 어떻게 해요? 버려요?
2023. 12. 18. 23:00
300x250
 
미식경제학
내추럴 와인은 왜 MZ세대에게 인기일까? 요즘 식당은 왜 바 테이블(다찌석) 구조가 많을까? 성수동은 언제부터 핫플이었나? 미식의 트렌드를 좇다 보면 자연스레 품게 되는 질문들을 시장경제의 관점과 접목시켜 흥미롭게 풀어내며 누적 조회수 50만을 기록한 화제의 유튜브 콘텐츠 〈미식경제학〉이 책으로 출간되었다. 전 ‘사운즈한남’ 총괄 셰프이자 유튜브 채널 ‘공격수셰프’(구독자 25만 명)를 운영하고 있는 박민혁 셰프를 필두로, 각 업계의 전문가들과 함께 식문화, 핫플레이스, 인플레이션 등 미식에서 뻗어나가는 다양한 갈래의 주제를 아우르며 취향과 소비, 경제의 관계에 관해 살펴본다. 유튜브 콘텐츠의 경쾌하고 감각적인 매력은 그대로 살리되, 방송에서는 다 다루지 못했던 취재기를 속속들이 담았다.
저자
토스, 박민혁
출판
위즈덤하우스
출판일
2023.12.13

 

미식 경제학? 미시 경제학 아니고?

이 책은 미식 경제학이 맞다. 미시 경제학이 아닌 이유는 실제로 미시 경제학이 아니니까? 어찌 됐건 먹는 것으로 시작해서 먹는 것으로 끝나는 내용에서 경제학이 포함된 책이다. 혹시나 이 책에서 엄청난 원리나 그런 것을 바랐다면 다른 서적을 찾는 것이 맞다. 시작으로는 내추럴 와인이 나온다. 뭔지 모른다면 유기농 야채와 같은 느낌이라고 보면 된다. 와인을 만들 때 넣는 각종 효모와 이산화황 등을 배제하고 순수하게 포도를 가지고 만든다는 의미인데 의미적으로는 아름다운 것이 분명 하나 한계점은 짧은 유통기한과 더불어 만들기 '매우 어렵다'라는 문제가 있다. 맛은 음... 뭐랄까 내가 먹어보지 않아서 판단을 하기 어렵다. 물론 나도 비싼 와인이 맛있다는 것은 잘 알고 있다. 이 내추럴 와인은 와인 업계에서는 심한 경쟁 중에 나오는 하나의 다른 카테고리라고 할 수 있다.

 

핫플레이스에는 왜 항상 맛집이 나오는가?

최근에는 맛집도 엄청 다양화되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뭔가 빈부격차도 점차 심해지는 느낌이다. 그럼에도 핫플레이스라는 곳에 맛집이 빠지지 않는 이유는 우리가 이동하거나 하는 경우 가장 오랜 시간을 고민하고 '꼭 여기는 가 봐야 해' 라고 생각을 하는 부분이 있어서가 아닐까? 지금 핫플레이스라고 이야기를 하는 성수동의 경우 각종 맛집이 즐비하게 있으며 프랜차이즈보다 오히려 개인 가게가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과거 가로수길이나 이태원 골목 등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인데 그러한 모습이 핫플레이스로 바꿀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우리 치즈는 왜 맨날 모짜렐라나 체다야?

이유가 간단하다. 일단 우유라는 것을 매개체로 하기 때문에 신선도의 문제가 생기는데 한국은 반도 국가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해상이나 공중으로 수입을 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유의 경우 대량으로 하기에는 수지타산이 맞지도 않을 뿐더러 제품의 항상성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치즈도 국내에 있는 우유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데 가장 빠르게 만들 수 있고 널리 저변이 깔린 제품만을 생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1000가지가 넘는 제품이 존재하지만 고작 몇 가지만 먹어보는 우리에게 치즈란 그저 입맛을 돋우는 정도에서 멈출 수밖에 없을까? 최근에는 다양한 치즈도 나오기 시작하면 그 저변이 넓어지는 느낌이긴 하다.

 

오마카세는 어떤 비밀이 있는가?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오마카세의 경우 한편으로는 자신이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는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무조건 비싼 이유는 모든 것을 맡기기도 하지만 판매자로 하여금 금액도 제멋대로 책정을 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라고 생각이 된다. 그럼에도 지금 인기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고급진 곳에서 먹었다는 그러한 마음과 더불어 과시를 하고 싶은 사람들의 마음이 공존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한 번도 먹어본 적이 없지만 오마카세라고 하는 것이 결코 '무조건 좋은 것'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본인만의 맛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을까?

 

이 책은 참 재미있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는 것은 글을 잘 쓴 것도 있겠지만 내가 지금 생각하는 음식 재료들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는 '동화' 같은 이야기 방식 때문일 것이다. 관심이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의 과거에 대해서도 많이 궁금해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알았다. 내가 관심있어 하는 식재료의 과거는, 그리고 지금의 상황은 어떤 상황일까? 궁금하다면 저자와 같이 식재료와 함께 여행을 떠나보면 쉽게 알 수 있지 않을까?

300x250
Posted by 오르뎅
2010. 10. 29. 22:04
300x250

사용자 삽입 이미지

1. 기획 의도

최근에는 맞벌이가 늘어나면서 외식이나 집/회사에서 배달을 하여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와 같이 계속 외식을 하게 된다면 영양소의 불균형이나 음식의 질에 대한 위험성을 피할 수가 없는데, 직접 식재료를 가지고 음식을 만든다면 좀 더 저렴하게 다양한 영양소의 음식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주부조차 냉장고 안에 어떤 재료가 있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매번 동일한 음식을 만들다가 보니 남는 재료는 계속 남아있게 되어 쓰레기통으로 향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따라 현재 가지고 있는 재료를 가지고 어떤 음식을 만들 수 있을 지 검색해 주는 앱을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2. 상세 내용

1. 기획 목적

- 남아 있는 식재료를 알 수 있으며 해당 재료로 만들 수 있는 RECIPE 검색 및 활용방안

 

2. 앱 활용 방안

- 남아 있는 식재료 및 RECIPE 검색 기능

① Barcode App.을 활용하여 냉장고 IN/OUT 시에 Smart Phone으로 보유 식재료 확인

② 보유 식재료로 만들 수 있는 RECIPE 검색 기능(Match율 %로 확인 실시)

③ 검색 시 모든 재료가 있는 것이 아닌 추가적인 재료가 필요할 경우 근처 Mart에서

바로 검색이 가능하도록 GPS로 연결하여 근처 Mart 위치 및 가격 비교 가능토록 함

- 식재료의 주용도(食)가 아닌 생활 속의 방안으로 활용 가능(ex: 오이->오이마사지)

① 냉장고에 들어간 시점과 나오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신선도 검색 가능

② 식재료를 다른 방법으로 활용하게 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음

 

3. 앱 제작 방안

- Barcode App.으로 인식시킬 경우 각 식재료 생산업체에서 명확한 식자재명으로 통일이

필요함(ex: XX 오이, XXX 당근, XXX 바나나 등)

- 식재료 가격 비교의 경우 각종 Mart 간의 가격 Open이 필요함, 최근 각 Mart 별로 자사

홈페이지에서 가격을 Open하여 확인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가격을 확인할 수 있음

이 경우 가격을 Open하는 업체만 선정하여 등록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광고 수입을 得할 수 있음

- 각종 RECIPE의 경우 재료 선정 혼란 방지를 위해서 3명 정도의 전문가 RECIPE를 참고

하도록 하며 이에 따른 별도의 부담금이 발생할 수 있음

=> 단, RECIPE의 식재료는 단순한 것을 우선적으로 선정해야 함

안드로이드 앱 공모전에 출전했었지만 보기 좋게 탈락.ㅠ.ㅠ, 너무 잡다한 것에 관심이 많아서 그럴까요?
매번 하는 것마다 제대로 되는 것이 없네요.ㅠ.ㅠ, 그래도 힘내야 겠지요? 너무 뛰어난 사람들이 많아요ㅠ

300x25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