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는 상대방의 심리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가가 점차 관건이 되어 가고 있습니다.
물론 심리학 자체는 예전부터 존재해 왔던 학문이긴 하나 점차 통일적인 생각을 갖는 것이 아닌 개별적인 생각을 갖게 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되면서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심리학으로는 풀기 어려운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무의식적이나 의식적으로 많은 사람이 공통적으로 행하는 행동들이 있어서 이런 책이 나오는 것이 확실합니다. 실제로 책에 나온 내용 중에 팔짱을 끼고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의 방해를 싫어한다는 것을 본다면 저 역시 제가 쇼핑 중에 팔짱을 끼고 구경하는 곳에서 점원이 이런 저런 말을 걸어오면 귀찮아서 구매충동이 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 분은 애초에 이런 책을 읽지 못하였거나 남의 심리에 대해서는 별로 고민하지 않은 케이스임에 분명하지요. 그것을 연구한 사람이 성공할 수 있었던 시절이 있었으니, 지금은 조금 다릅니다. 책에서 나오는 case를 가지고도 어느정도 파악이 가능하니 말이지요.
학교를 다닐 때도 어쩌면 가장 머리 아프던 것이 인간관계 아니었나 생각이 됩니다. 고등학교 때까지는 그냥 한 반에 어떤 친구가 되든 1년은 같이 봐야 하기 때문에 미우나 고우나 친해질 수 밖에 없는(적어도 안면은 존재하는) 상황이 될 수 밖에 없었으나, 대학교를 가게 되면서 그게 아니게 되었습니다. 뭔가 수업을 같이 듣기도 하고 듣지 않기도 하고 타과 수업을 듣다보면 친해지는 사람이 있고 멀어지는 사람이 있고, 어찌보면 지나친 자율에 빠지게 된다고 할까요? 본인의 노력 여하에 따라서 인간관계의 폭이 넓어지고 줄어들 수 있으니(물론 고등학교나 중학교도 대외 활동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학교 때만큼 대외활동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가 드물지요) 조금은 혼란스럽기도 하였던 것 같습니다. 사실 그 때 이 책을 미리 읽을 수 있었더라면 조금은 나은 인간관계를 갖지 않았을까 생각을 합니다. 책이 이전에 있던 심리학 책과는 다르게 case 하나하나의 예를 모두 들고 있기 때문이지요. 물론 대부분 직장 상사나 부하에 대한 내용이긴 합니다만 학교에서도 이런 경우가 전혀 없지 않으니 미리 알고 있었다면 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제목은 '이기는 심리학' 이라고 하였으나 심리학의 근본적인 목적은 상대방을 제압한다기 보다는 상대방과 내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요즘처럼 화가 난다고 그저 화나는 것을 그대로 상대방에게 표현하고(특별히 참는 것이 무조건 미덕이라고 보기 힘든 사회에서) 상대방을 아프게 하더라도 나에게만 이득이면 된다는 사람이 늘어나는 이런 사회에서 서로가 배려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이 책을 보며 한 번쯤 고민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책의 말미에 나오는 위인들의 심리적인 전술 혹은 대화법은 지금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됩니다. 그들은 단순히 전쟁을 승리하기 위해 갖은 수단과 방법을 취한 것이 아니라 어쩌면 군대 이후의 생활까지에서도 모범이 될 수 이도록 리더십을 발휘한 것이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정작 하기는 힘든 이런 심리적인 방법에 대해서 좀 더 알아두면 좋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꼭 한 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생활 속의 독서 > 자기 관리 및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소드 스타일? 그저 부러워요! (0) | 2013.10.05 |
---|---|
그녀의 겁없는 미국 생활 도전기 (0) | 2013.09.27 |
세상을 바꾸는 방법, 창조력 주식회사 (1) | 2013.09.10 |
돈에 대한 우리의 자세? 돈의 심리학 (0) | 2013.09.01 |
이렇게 써먹으면 되는 MBA (0) | 201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