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조현민
- 출판
- 쌤앤파커스
- 출판일
- 2025.06.09
'남편이 화캉스 갔어요'
화캉스가 무엇인가? 화장실로 바캉스를 간다는 의미이다. 이런 말이 나온 이유는 집에서 가장의 권위(?)가 사라졌기 때문에 그런데, 아마 앞으로도 다시 세워지기는 조금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집이라는 곳이 사실 국평(구 33평)을 기준으로 하더라도 넉넉한 넓이가 아니고 별도의 마당 등이 없기 때문에 어쩌면 서로 자신만의 공간이라고 하는 곳이 거의 없다. 특히 부부의 경우 각 방을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나만의 공간'을 활용하는 경우가 적은데 저자는 이런 부분을 일거에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바로 '전기차'를 제시했다. 이 책은 어디까지나 전기차를 위한, 전기차에 의한, 전기차로 인한 책이다.
단순히 전기로 바뀐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테슬라가 불 붙인 전기차의 변화는 스마트폰이 처음 나왔을 때만큼 충격적인데 인터넷이 가능하다는 것이 스마트폰의 핵심이었다고 하면 전기차의 핵심은 사실 전기로 무엇인가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전기차에 있는 '자율주행' 이 바로 그 핵심이다. 그리고 화캉스가 전기차 안에서 가능하게 하는 것도 하나의 메리트라고 볼 수 있다. 기존 내연기관의 경우 내부 전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시동을 켜야 하는데 결국 엔진이 돌아가야 하는 문제가 있어서 소음과 휘발유 혹은 경유의 소비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환경오염 측면에서도 그다지 좋지 않다) 이런 점을 생각해 볼 때 자동차 내부에서 자유롭게 전기를 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는 화캉스 대용으로 딱 알맞는다는 것도 지금의 트렌드에 맞는 것이 아닐까?
자율주행은 또다른 혁신이다.
사실 한국에서도 자율주행에 대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법제화의 문제도 있고 국토 자체가 작기 때문에 발생하는 불리한 점에 있어서 미국이나 중국과 같이 국가적인 지원과 넓은 국토가 없다면 진행이 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미 그들은 많은 데이터를 모아서 LV3에 이르는 주행이 가능한 수준인데 법적 제약 때문에 한국에서는 고속도로 위주만 사용이 가능하지만 저자의 의견대로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운전이 지루하고 힘든 시간이 아니라 조금은 여유롭게 차 안에 있는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엄청난 메리트가 아닌가 싶다. 개인적으로도 향후 모든 차에 자율주행이 된다고 하면 사고도 일어날 염려를 거의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이 되는데(어차피 다 똑같이 움직일 테니) 꼭 한 명은 희생해야 하는 현재에서 다 같이 즐길 수 있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그렇다면 차는 어떤 존재가 될까?
단순히 이동 수단이 아니라 그 안에서 엔터테인먼트가 발달될 수 있는 소지가 크다. 운전자의 방해를 하지 않기 위해서 그동안 각자 놀았던 사회에서 이제는 모든 사람이 자연스레 대화하고 참여를 하며 즐길 수 있는 세상이 된다는 의미이다. 불과 10여년 전까지만 해도 자율주행은 절대로 불가능하다고 했었는데 이제는 점차 변화가 되어 자율주행 자체는 가능한데 좀 더 보완이 필요한 상황까지 오게 된 것 같다. 앞으로 완성형이 되면 세상은 내연기관차가 아니라 전기차 위주로 재편되지 않을까? 지금 캐즘을 논하면서 2차 전지나 자동차의 위기를 말하곤 한다. 그런데 결국 이 문제는 기술의 발전과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이고 앞으로는 더 큰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이미 시작된 혁명이 뒤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사실은 우리는 이미 역사를 통해서 배워왔다. 테슬라와 BYD의 기술이 좋다, 대단하다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도 그 시장에 뛰어들 준비를 해야 하지 않을까.
- 출판사에서 제공받아 주관적인 시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생활 속의 독서 > 사회_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심히 살아도 불안한 사람들 (0) | 2025.07.27 |
---|---|
창의성에 집착하는 시대 (4) | 2025.06.14 |
양자역학의 결정적 순간들 (10) | 2025.06.14 |
방구석 판소리 (0) | 2025.06.03 |
대통령님, 트럼프는 이렇게 다루셔야 합니다 (4)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