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일링'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2.07.29 THE BOSS
  2. 2022.07.29 스타일은 권력이다
2022. 7. 29. 19:13
300x250

 

 

처음에 제목을 보고 '깡패 두목?'이라는 생각을 했다.

뭐, 깡패이야기는 사실 1도 나오지 않는다. Young & Rich라고 하는 것을 당당하게 적어놓으신 분인데 돈을 통제하라고 하는 자신감 넘치는 분의 이야기다. 언제부터인가 부자를 갈망하는 사람은 더 늘어나고 있는 실정인데 실제 부자가 될 수 있는 사람은 더 줄어드는 느낌이다(부의 쏠림 현상이라고나 할까?) 그래도 항상 부자들이 어떤 삶을 살았고 어떻게 하면 부자가 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많이 남는다. 저자는 정말 짧은 시간 안에 부를 이룩한 사람이다. 당당하게 집이 롯데 시그니처라고 말을 하는 것을 보니 말이다. 그 사람이 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일단 그가 돈을 버는 것은 최근 경쟁이 심해지고 있는 '경영 컨설팅업'이다.

그가 경영학 석사나 박사를 나온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과거에 엄청난 기업을 이끈 총수도 아니다. 그런데 경영 컨설팅을 하면서 월 천만 원 이상의 돈을 받고 있다. 참 신기하지 않은가? 우리는 학력이 우리의 생활을 윤택하고 멋지게 만들어 줄 것이라는 상상에 잡혀있지만... 글쎄, 내가 살아본 봐에 의하면 분명 도움은 되지만 절대적이지는 않은 것 같다. 서울대를 나와도 지금 나보다 연봉이 적은 친구가 허다하니 말이다(나는 그냥 평범한 회사의 평범한 샐러리맨 일뿐이다) 저자는 완전히 밑바닥부터 자신의 노력으로 빠르게 올라섰고, 노력이 그 빛을 발한 사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일머리는 중요한 것 같다.

중간에 과거 백종원 씨의 프로그램 이야기 나오면서 당시 빌런으로 나오던(?) 홍탁 집 이야기도 같이 나왔다. 본인이 계속 일을 하면서도 '왜 이 일을 하는지, 어떻게 하고 있는지, 몇 번이나 하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조금도 없고 그저 '시키니까 했다'라는 말을 반복하는 것을 보면서 백종원이 한탄 섞인 이야기를 많이 했던 기억이 난다. 저자 역시도 부하 직원이 단순한 업무에도 전혀 그 업무에 대한 의지를 느끼지 않는 것을 보고서 비유를 했었는데 그만큼 일머리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같은 일을 하더라도 응용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반대로 같은 일을 하더라도 전혀 응용이 안 되는 사람이 굉장히 많다. 과연 우리는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할까?

 

부자는 아끼는 게 아니라 많이 벌어야 한다.

이 점이 참 와닿는 내용이다. 내가 다른 사람들에게 강의를 할 때도 항상 이런 이야기를 하는데 '티끌 모아 티끌'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 먼지를 아무리 모아봐야 태산이 아니라 결국 티끌에서 멈추게 된다. 모으는 시간보다 결국 쓰는 시간이 더 많고 빨라서인데 아끼는 것은 분명 당장 도움은 되지만 아끼는 사람이 부자가 되는 케이스는 솔직히 못 본 것 같다. 투자를 하지 않는데 어떻게 수익이 생길 수 있을까? 시간이든 돈이든 사실 많이 투자할수록 얻는 것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저자는 더 많이 버는 것에 시간을 투자하라고 한다. 

 

얼마 전 읽은 스타일링 책에도 나오지만 자신을 꾸밀 줄 알아야 한다.

개인적으로 돈을 가장 빠르게 그리고 많이 벌 수 있는 업종은 단연코 영업이라고 생각이 된다. 그런데 이 영업이라는 것이 정말 짧은 시간 안에 결정이 필요한 사항이므로 자신을 가꿔야 하는데 혹자는 '나는 실력으로 승부한다'라는 말도 안 되는 이야기로 이것을 안 하려고 한다. 보이는 것이 바로 실력이다. 나를 가꾸지 않은 사람에게는 기회조차 찾아오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단순히 영업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인생을 건 모험이라고 생각을 하면 그렇게 쉽게 결정하거나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다. 저자의 악바리 같은 근성과 성실함, 그리고 노력은 정말 배울 점이 많아 보인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자기 관리 및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을 바꾸는 글쓰기 재발견  (0) 2022.07.31
멘탈이 강해지는 연습  (0) 2022.07.29
스타일은 권력이다  (0) 2022.07.29
탁월함의 그릇  (0) 2022.07.18
퍼스널 브랜딩 레볼루션  (0) 2022.07.12
Posted by 오르뎅
2022. 7. 29. 18:44
300x250

 

퍼스널 스타일링 전략가?

뭔가 영어로 도배가 된 듯한 말이지만 실제로 존재하는 사람이다. 어쩌면 많은 사람이 누릴 수는 없는 직업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나의 스타일을 누군가 책임져 줬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있다면 충분히 해 볼만한 직종으로 생각이 된다. 과거에는 연예인들만 스타일리스트라고 하여 서브로 데리고 다니거나 전문적인 업종 형태로 유지를 했었지만 이제는 연예인과 일반인의 경계가 다소 모호해진 마당이라 쉽게 접할 수 있는 직업군이 되었다(물론 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다) 그런 그녀가 말을 하는 스타일링에 대한 내용, 과연 어떤 것일까?

 

시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난 이 문장이 정말 잘 들어맞는 내용이라고 생각이 된다. 일단 당장 말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아이들도 잘생기고 예쁜 사람을 보면 행동을 다르게 한다. 소위 '얼굴빨' 로 먹고 살아간다고 할까? 거기다가 최근 유튜브와 더불어서 각종 숏폼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사람들은 '외적인 모습'에 열광을 하게 된다. 정말 몸짱이 너무 흔해지는 세상이 도래하게 되었는데 스포츠 산업이 날이 가면 날이 갈수록 발전되고 있는 것을 보면서 '나 자신을 위한 투자는 전혀 아깝지 않다'라는 마인드를 전 국민이 갖고 있는 게 아닌가 싶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게으르게 아무것도 하지 않는 나와 같은 사람도 존재는 한다)

 

그런데 스타일링은 어떤 것을 말하는가?

방금 위에 말했던 것과 같이 애초에 잘생기고 이쁜 사람들은 혜택을 받고 있다고 치자. 그럼 나같은 사람은 대체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그런데 한편으로는 이런 생각을 한다. 너무나 많은 사람이 존재하고 다 다르게 생겼기 때문에 구분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치장을 하게 된다면(표현이 좀 서툰 것 같지만 외적으로 보이는 모습이라고 생각을 하면 좋겠다) 돋보일 수 있지 않을까? 정치인이 잘생겨서 투표를 뽑아주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대부분 정당을 보고 뽑지만 정말 사소한 차이에서 당락이 갈린다고 하면 이런 외적인 것이 많이 결정을 좌우하게 된다. 자신에게 딱 맞는 스타일링을 알고 실제로 한 사람과 너무나 맞지 않는 사람. 과연 무엇을 보고 선택을 하게 될까?

 

책의 중간에 쇼트트랙 선수 '곽윤기' 가 나온다.

지난 동계 올림픽 때 많은 웃음을 선사해 준 사람인데 항상 쾌활하고 멋진 모습을 보여주며 선수로서는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지만 우리가 그의 모습을 기억하는 것은 바로 '분홍머리 남자' 일 것이다. 거기다가 거침없는 입담과 더불어 당시 유행했었던 '곽윤기의 후방 시선'의 그림을 기억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을 것이다. 그가 아무것도 아닐 때 단순히 남자가 분홍 머리라고 하는 것이 어울릴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는데 운동을 해서 까맣게 탄 얼굴에 의외로 저렇게 분홍머리가 잘 어울리는 줄은 처음 알았다. 잘생긴 얼굴은 아니지만 정말 많은 호감이 가는 외모라고 생각이 되는 것은 자신을 잘 스타일링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책의 뒤쪽에는 자신만의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이드가 있다.

자신의 체형이나 색채, 얼굴형태 부터 해서 나중에는 말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적혀 있다. 혹자는 이런 것이 너무 인위적인 모습이 아닌가 불만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런데 사람은 누구나 가면을 쓰고 산다. 집에 들어오면 그 가면을 벗어던지면서 휴식을 취하지만 나갈 때는 또다시 가면을 쓰게 된다. 안과 밖이 똑같은 사람은 편하긴 하겠지만 정말 기회가 왔을 때 자신의 모습으로 어필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나는 어쩌면 이러한 스타일링은 현대 사회에서는 꼭 필요한 하나의 '필수 과목'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간 자신을 너무 대충대충 생각했던 사람이 있다면 한 번 읽어보고 스타일링에 맞는 옷과 말을 해 보는 것이 어떨까 추천해 본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자기 관리 및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멘탈이 강해지는 연습  (0) 2022.07.29
THE BOSS  (0) 2022.07.29
탁월함의 그릇  (0) 2022.07.18
퍼스널 브랜딩 레볼루션  (0) 2022.07.12
밥 프록터 부의 확신  (0) 2022.07.10
Posted by 오르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