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1. 22:03
300x250
 
내 주식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그럼에도 우리는 주식의 본질을 모른 채 어딘가에서 주워들은 회사 이름만 가지고 주식을 사고 있지는 않은가? 주식과 우리 사이를 가로막고 있는 거대한 벽 때문에 말이다. 그래서 만들어진 책이 《내 주식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이다. 이해를 돕는 삽화 때문에 이 책이 쉽다는 것이 아니다. 사과나무를 이해하기 위해 사과 씨를 땅에 심어보는 것처럼, 주인공의 창업 과정에서 회사가, 또 투자자가 겪는 모든 일을 에피소드로
저자
선진호
출판
올드스테어즈
출판일
2025.04.01

 

최근 잘 나가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이 급락했다.

급락의 이유는 바로 '유상증자'. 대체 유상증자가 뭐길래 이렇게 난리일까? 이론적이라면 말 그대로 주주의 추가금을 통해서 자본을 늘려서 사세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사업에 진출하는 등의 방식으로 활용한다는 의미이다.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대주주의 지분이 희석되기 때문에 지분이 애초에 높지 않으면 다른 쪽에 해당 회사의 경영권을 잃어버릴 수 있는 상황도 발생된다(흔히 드라마에서 주주총회 때 경영권을 뺏거나 뺏기는 장면이 바로 이거다) 그럼에도 강행을 했다는 것은(심지어 금액이 3조가 넘는다!) 자신감의 상징일까? 그런데 단순히 지분만 바뀌는 것뿐인데 왜 그리 난리일까?

 

내 주식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일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렇게 잘 나가던 주식도 갑자기 유상증자를 한다고 하니까 떨어진다. 유상증자는 악의 축인가? 얼마 전 '이수페타시스' 라는 회사 역시도 유상증자를 한다고 했다가 급락을 했었다. 탄소나노튜브 관련 회사를 인수한다고 한 것이었는데 이것이 경영상의 문제였을까? 솔직히 잘 모르겠다. 그런데 사실 이러한 유상증자가 문제가 되는 것은 회사들이 교묘하게 자신의 지분을 희석시키지 않고 말 그대로 '돈'만 당겨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특히 자회사를 상장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원래 주식에서 가져가야 할 지분을 나누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한국에서는 이렇게 자회사를 마구 상장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해외에서는 그런 경우가 별로 없다. 미국의 구글의 경우 오직 '알파벳'이라는 회사 하나로 하는데 한국이었다면 자회사를 50개쯤 상장시키지 않았을까?

 

이 책에서 유상증자가 나쁘다 좋다를 다루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주식 투자를 하면서 그저 오르는 것을 좋아하는 시기는 어릴 적의 시기이다. 물론 한국은 개인의 일정 이하 양도세는 면제이기 때문에 언제든 사고 파는 것이 수수료만 있으면 용이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가져가고 있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미국이나 선진국들과 같이 형태가 바뀌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일단 주식회사가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를 하고 있으면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나오는 최초 상장의 모습은 아주 쉽게 설명이 되어 있지만 정말 이해가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장 이후의 모습에서 내 주식이 흔들리거나 하는 모습이 지금 가지고 있는 주식에서도 나타나고 있어서 머릿속에 정리가 참 제대로 되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자본이 잠식되면 무엇을 해야할까?

비록 비상장이지만 최근 홈플러스의 모습을 보면 잔뼈가 굵다고 표현을 받고 있는 MBK의 가차 없는 방식에 참 놀라움을 금치 못할 수 없다. MBK는 사모펀드다. 일단 어찌 됐건 투자자의 자본 회사가 중요하기 때문에 할 수 있는 방안은 모두 활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된다(적어도 한국의 경영진들처럼 우왕좌왕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아서 개인적으로는 이게 더 낫다고 본다) 물론 도의적인 책임이나 채권을 계속 발행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법리를 다뤄봐야 알겠지만 한국만큼 기업 경영하기 힘든 곳에서 자본잠식이 시작되면 어떤 식으로 운영을 해야 하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회사가 어렵다고 그냥 부도내고 포기할 수는 없지 않은가.

 

책의 내용은 단순하지만 아주 간결하다.

회사의 창립부터 시작해서 왜 귀찮게 주식회사로 만들어야 하는지, 그리고 상장이 되면서 어떤 식으로 M&A를 하는지, 그리고 물적분할이나 유상증자 등을 시작하면 왜 주주들이 그렇게 난리를 치는지에 대해서 이해가 잘 된다. 이론 상으로 문제는 없지만 일반적으로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대주주보다는 소액주주의 피해가 더 컸기 때문에 지금도 유상증자를 한다고 하면 눈에 쌍심지를 켜고 일어나서 '절대 안 된다'라고 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최근 상법 개정으로 인해서 의견이 분분하다. 개인적으로 몇몇 조항은 정말 기업을 하기 힘들게 만드는 독소조항이라고 생각이 들면서도 한편으로는 주주들의 위해서 한 것이 너무 없는 현실에 빗대보면서 여러 가지 생각이 든다. 이런 이야기도 내가 주식회사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 할 수 있지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좋다, 나쁘다를 판단할 수 없지 않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좋은 교과서 같은 책이다.

 

- 출판사에서 제공받고 객관적인 시선으로 작성하였습니다.

300x250

'생활 속의 독서 > 경제경영 서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윤리경영 리더십  (0) 2025.03.21
경제학의 역사  (1) 2025.02.21
미지의 늑대  (0) 2025.02.17
K-방산에 투자하라  (1) 2025.02.12
당신은 사업가입니까  (0) 2025.01.29
Posted by 오르뎅

오르뎅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